교과과정
전공자(사회복지사자격증 소지자) 학기별 이수 교과목 및 최대이수학점
구분 | 1학기차 | 2학기차 | 3학기차 | 4학기차 | 이수학점 |
---|---|---|---|---|---|
전 공 자 |
사회복지조사론 | 프로그램개발과평가 | 각 전공 별 필수 과목 -사회복지학: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정책분석 중 택1 -노인복지학: 노인복지론 -가족차료학: 가족복지론 |
선택교과목 | -학위논문(28학점): 24학점+논문4학점 -졸업시험학위취득:32학점 |
상담이론과실제 | 사례관리론 | ||||
사회복지서비스론 | 사회복지자료분석론 | ||||
선택교과목 | 선택교과목 | 선택교과목 | |||
- | - | 논문연구Ⅰ | 논문연구Ⅱ | ||
8~9학점 | 7~9학점 | 7~9학점 (논문 2학점 별도) |
8~9학점 (논문 2학점 별도) |
비전공자(사회복지사자격증 미소지자) 학기별 이수 교과목 및 최대이수학점
구분 | 1학기차 | 2학기차 | 3학기차 | 4학기차 | 5학기차 | 이수학점 |
---|---|---|---|---|---|---|
비 전 공 자 |
사회복지조사론 (3학점) |
프로그램개발과평가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3학점) |
사회복지 현장실습Ⅰ (3학점) |
지역사회복지론 (3학점) |
-학위논문(34학점): 30학점+논문4학점 -졸업시험학위취득: 38학점 |
상담이론과실제 | 사례관리론 | 노인복지론 (3학점) |
사회복지법제 (3학점) |
선택교과목 | ||
사회복지서비스론 | 사회복지자료분석론 | 가족복지론 (3학점) |
선택교과목 | |||
선택교과목 | 사회복지행정론 (3학점) |
- | ||||
- | - | - | 논문연구Ⅰ | 논문연구Ⅱ | ||
8~9학점 | 8~9학점 | 9학점 | 6~8학점 (논문2학점 별도) |
5~9학점 (논문 2학점 별도) |
사회복지사 자격증 관련 이수 교과목
구분 | 교과목 | 대학원 이수교과목 |
---|---|---|
필수교과목 (10과목) |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현장실습 | 6과목 18학점 (과목당 3학점) |
선택교과목 (19과목) |
아동복지론, 청소년복지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여성복지론, 가족복지론, 산업복지론, 의료사회사업론, 학교사회사업론, 정신건강론, 교정복지론, 사회보장론, 사회문제론, 자원봉사론,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사회복지지도감독론, 사회복지자료분석론, 프로그램개발과평가, 사회복지발달사, 사회복지윤리와철학 | 2과목 6학점 (과목당 3학점 이상) |
교과목 소개
G01519 | 사회복지자료분석론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양적조사자료의 기본적 특성과 분석절차를 이해한 후에 구체적인 조사질문이나 가설에 따른 통계적 분석방법을 교육한다. 사회복지조사자료분석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많이 활용될 수 있는 통계기법만을 취급하기로 한다.
G01526 | 사회복지현장실습Ⅰ (Social Work Practicum Ⅰ)
사회복지 실무현장에 학생들을 배치하여 1주일에 하루(8시간) 실제로 사회복지기관에서 교육받도록 한다. 서비스의 기획, 전달, 평가하는 과정에 참여하고 사회복지기관슈퍼바이저의 지도와 학교 실습교수의 지도를 통해 실질적인 업무를 익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실습보고서를 제출하고 사회복지기관의 슈퍼바이저와 학교 지도교수가 이를 검토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복지사로서 자질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G01529 | 사회복지정책분석 (Social Welfare Policy Analysis)
사회복지정책과 제도체계의 구성원리와 기본가치 그리고 개념적인 틀을 검토하고, 정책분석 이론과 기법을 이해하여 사회복지정책의 분석과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G01530 | 프로그램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관리하며 평가하는 문제를 다룬다. 사회복지의 거시적 접근모델의 맥락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욕구를 파악하여, 적절한 개입으로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기본적인 목표를 둔다. 나아가서 그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그에 대해 평가하는 능력까지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G60003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개인과 가족, 집단의 사회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기술, 기법, 지침 등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사례연구와 역할 연습을 통해 실천기술, 기법, 지침을 실천대상에게 적용하며, 실제에 개입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강조한다.
G02118 |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우리나라의 복지정책 및 제도의 변천과정을 설명하고, 특히 1960년대 이후의 산업화 및 근대화 작업에 따른 각종 사회복지정책의 생성 동기와 과정을 연구한다.
G02119 |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 for Social Welfare)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사회복지조사의 기본적인 개념들과 기초이론들을 배우는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먼저 과학과 과학적 방법, 사회과학방법을 기본적으로 이해한 후에 사회복지조사의 일반적인 절차인 조사문제 선정, 가설설정과 개념 정의, 조사설계, 표집, 측정도구개발,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의 일반화에 따른 기본이론과 기법을 익힌다.
G02120 |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공적 및 민간차원의 사회복지 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조직과 이들의 연계체계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사회복지 조직의 요원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을 관리, 운영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G02122 |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정신건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고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재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지역사회활동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G02123 |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Organization)
지역사회의 건전한 발전과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한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사회사업 개입방법을 탐구함으로써 지역사회조직 이론의 기본원리 및 과정을 학습케 한다.
G02124 | 사회복지법제 (Social Welfare and Law)
사회복지법의 기본시각으로서 사회복지법의 개념, 생존권, 사회복지의 가치와 목적 및 일반원리를 고찰하고 사회복지법제의 생성과정과 범위 및 구조를 파악한 후,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분야별 법 내용들을 학습하여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어떠한 법제 아래서 수행되어지는가를 이해함으로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법 내용을 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G02133 | 사회복지현장실습Ⅱ (Social Work Practicum Ⅱ)
한국과 외국의 사회복지기관의 제도, 시설, 프로그램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한국사회복지정책과 개선을 위한 지식을 습득한다. 또한 한국과 외국의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개입방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서비스 향상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임상적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
G02154 |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Theories of Family Therapy)
가족치료의 기반이 되는 다양한 이론과 접근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가족문제해결을 위해 실천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G02157 | 가족치료단기개입론 (Brief Family Therapy)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이론을 통하여 다양한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G03230 | 사례관리 (Case Management)
최근 사회복지 서비스의 제공단위로서 지역사회가 강조되면서 사례관리의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이런 사례관리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이해와 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사례관리의 개념, 역사, 이와 관련된 중요한 사례관리기술을 이해함과 동시에 이러한 지식들이 어떻게 지역사회에서의 사회복지실천과정에 있어서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에 대해서 학습함을 그 목표로 한다.
G03231 | 학교사회사업 (School Social Work)
이 교과목은 학교폭력과 비행 등 학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실천방법으로서 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과 개념, 실천대상과 실천방법, 제도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학교를 중심으로 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실천능력을 배양한다.
G03240 | 이야기치료 (Narrative Therapy)
Michael White에 의하여 개발된 이야기치료는 치료자와 Client가 함께 client가 정의하는 문제와 이야기를 재작성해 나가면서 내담자의 문제를 내적인 것으로 보기보다는 외적인 것으로 외재화 해 나가는 공동의 작업을 강조하는 치료법이다. 단기적이고 강점을 강조하며 병적인 것에 초점을 두지 않는 치료방법이 특징이며 본 강의에서는 이야기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도록 한다.
G03241 |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Child Development and Parents Education)
초등학교나 학령전 아동중 행동장애가 있는 아동들이나 위기가정에서 성장하는 아동들과 그 가정에 초점을 두어 아동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하여 필요한 부모의 기능 및 역할을 증진하고 아동과 가족과 함께 효과적으로 일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G03866 | 빈곤과 자활정책 (Poverty and Self-sufficiency Policy)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가장 중심적인 사회문제인 빈곤에 대한 과학적 인식을 기초로 빈곤 실태를 살펴보고, 각종 빈곤정책을 분석함으로써 빈곤의 해소와 완화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탐구한다.
G04015 | 집단지도방법론 (Group Work)
집단을 활용하여 개인의 사회적 기능을 개인, 집단 및 지역사회의 문제 등을 해결하도록 집단역학과 집단발달과정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습득한다.
G02135 | 노인복지론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고령화사회를 맞이하여 노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노인들이 이 사회와 가정에서 겪는 문제를 살펴보고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과 사회․정책적 전략에 대한 연구를 한다. 또한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공 및 민간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연구하고 노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소득·의료·주거보장, 여가선용, 인간관계 등을 토의한다.
G02136 | 기초노화학개론 (Basic Introduction to Biology of Aging)
노화에 따른 생체의 변화를 세포, 조직, 기관 및 개체수준에서 학습하고 노화의 원인을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으로 고찰하며, 최종적으로는 노화와 노인성 질병 발생과의 연계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G03878 | 은퇴와 노후설계 (Retirement and Design for Later Life)
은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이슈들을 분석하고, 노후설계를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성공적 노후에 기여하는 은퇴적응 유형을 분석해 본다. 또한 임금피크제와 역모기지론 등 제테크와 은퇴후 창업 등 관련된 노후설계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성공적 노후를 구성하는 것과 어떻게 이러한 경험을 진작시킬 것인가를 고려하고 연구한다.
G03880 | 노인과 성 (Aging and Sexuality)
성은 남성, 여성의 존재 자체와 함께 자아정체의 인격적 존중을 포함하는 인성의 중요한 자원이며 성적행동은 일반적으로 성적 만족을 가져오는 특정행동을 뜻한다. 그러나 노인과 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은 오늘날 노인이 우리사회에서 집단적 차원에서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외면당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성문화의 실상 같은 사례조사나 문헌연구 등을 통해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사회문화적 편견을 최소화하며 복지차원에서의 노인의 성활동에 대해서 탐구한다.
G00101 | 논문연구Ⅰ (Dissertation SeminarⅠ)
논문의 형식과 내용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사회복지관련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논문작성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으로서, 논문의 형식과 내용에 관한 지도를 받는다.
G00102 | 논문연구Ⅱ (Dissertation SeminarⅡ)
작성된 논문계획을 실제 진행시켜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으로서 논문의 수정보완과 지도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