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사회혁신경영 전공

강민정
  • 분야

    ESG 경영, 소셜벤처 창업, 사회혁신, 지속가능비즈니스, 과학기술혁신과 경영능비즈니스, 사회혁신

  • 성명

    국문 강민정

  • 직위

    부교수

  • 연구실

    사회경영2관 13403

  • 연락처

    033-248-2496

  • 이메일

학력

영국 에딘버러 대학 과학기술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학사)

주요경력

(현) 한림대학교 미래융합스쿨 글로벌협력전공 주임교수/ 글로벌협력대학원 지속가능비즈니스 전공 책임교수

(전) 한림대학교 사회혁신경영 융합전공 주임교수/ 인력양성센터장

(전) KAIST 경영대학원, SK 사회적기업가센터, Co-Director/ 연구 부교수

(전) SK 텔레콤, 경영전략실(미래경영연구원 등), 부장

(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원 

연구 및 저서

 <주요저서> 
 • [탈일자리 시대와 청년의 일], 박영사, 2021.4. 단독저자

 • [사회적기업가정신], 박영사, 2021.7. 책임저자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과 사회혁신], 한울, 2018. 공동저자

 • [소셜이슈 분석과 기회탐색 I, II], 에딧더월드, 2015.3. 책임저자

 • [사회적경제 전망과 가능성], 에딧더월드, 2015.3. 공동저자

 

 <주요논문> 
 • “사회적 기업에 대한 임팩트 투자 활성화 정책”, 사회적기업학회, [사회적기업연구], 11-2호, 2018.9
 • “사회혁신 생태계의 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33-1호, 2018.2
 • “사회적 기업가 육성 방법론 연구- KAIST 사회적 기업가 MBA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학회,     [사회적기업연구], 10-1호, 2017.7
 • “사회적 기업가 육성을 위한 창업역량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30-1호, 2015.2
 • “사회적 기업가 대학원 커리큘럼 개선방안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29-2호, 2014. 4
 • “자본시장을 통한 임팩트 투자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법학회, [증권법연구], 15-11호, 2014. 4 
 • ‘사회적 기업 혁신체제’ 접근을 통한 사회적 기업 연구경향 분석, 한국비교정부학회, [한국비교정부학보],      18-1. 2014 .4
 • “사회적 벤처와 사회적 영향투자 활성화 정책”, 한국경영학회, Korea Business Review, 16-2호, 2012.5
 • “SK 네트웍스의 중국 산토우 PS 합병후 문화 통합 사례”, 한국경영학회, Korea Business Review, 15-3호, 2011.11

기타

2019.1-현재. 사회적기업학회, 감사

2019.1-현재. 함께일하는재단,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 참여기업 경영멘토

2018.1-현재. 한국사회투자, 투자기업 경영멘토

2017.7-2019. 동그라미재단, Local Callenge Project 참여기업 경영멘토

이종석
  • 분야

    전략경영

  • 성명

    국문 이종석

  • 직위

    교수

  • 연구실

    도헌글로벌스쿨 23217호

  • 연락처

    033-248-3585

  • 이메일

학력

한국과학기술원(서울)(박사-경영공학과)

주요경력

-한국과학기술원/동북아기술경영센터 초빙연구원

-한양대학교/경영학과 연구교수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초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경영공학과 POST-DOC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위촉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위촉연구원

-경희대학교, 동국대학교, 세종대학교, 충남대학교 등 시간강사

-한국과학기술원/경영공학과 연구조교

연구 및 저서

-논문

1. LDL-콜레스테롤의 Friedewald 계산법과 실측값의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2009-2010[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

2.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환경툭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의 상호작용[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5]

3. LDL-콜레스테롤의 추정 : Friewald 공식과 Martin 방법의 비교[통계연구, 2015]

4.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환경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의 조절효과[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

5. 한국 성인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과 관리 :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2[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

6. 청소년의 종교활동과 공동체의식 :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종교연구, 2015]

7. Cervical Interlaminar Epidural Steroid Injection for Unilateral Cervical Radiculopahy : Comparison of Midline and Paramedian Approaches for Efficacy[Korean Journal of Radiology, 2015]

8. 글로벌 소비지향성, 글로벌 정체성 및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가 글로벌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국제경영리뷰, 2015]

9. Number of osteoporostic sites as a modifying factor for bone mineral density[J Bone Miner Metab, 2014]

10. 기계적 부하 가설의 재고찰: 비만은 골다공증을 예방하는가?[통계연구, 2014]

11.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 부모학대경험 여부의 조절효과[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4]

12. 한국 여성 골다공증 검진부위에 따른 진단결과 불일치: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0[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4]

13. 문화예술 활동이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실증연구-[문화정책논총, 2014]

14. 비만의 양면성: 강원도 중장년 여성의 대사증후군과 골다공증[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4]

15. I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greater for older women?[J Bone Miner Metab, 2014]

16.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3]

17. 강원도 저소득층의 전립선질환 검진사업과 사후관리를 위한 유관기관 협력방안[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3]

18.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를 활용한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정상 참고치와 유병률 연구[통계연구, 2013]

19. 문화와 콘텐츠 산업: 사회자본 관점에서의 신한류 현상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012]

20. 국내 컨벤션산업 입찰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관광연구, 2011]

 

-저서

1. 하이테크 레고 놀이: 네트워크 진화 경쟁과 플랫폼 리더십[책임, 2014]

신동주
  • 분야

    디자인

  • 성명

    국문 신동주

  • 직위

    부교수

  • 연구실

    산학협력관 디자인센터

  • 연락처

    033-248-3337

  • 이메일

학력

고려대학교 미술교육과 학사
고려대학교 미술교육학 석사

주요경력

(현) 한림대학교 디자인센터장
(현) 한림대학교 사회혁신경영 전공 교수
(현) 주식회사 맑음 대표(겸임)
(전) 강원대학교 예술대학 출강
(전) 두산동아 편집연구원

연구 및 저서

❚주요활동


 • 한국관광공사 사진공모전 포스터 및 도록 디자인, 2015-2019
 • 강원국제미술전람회민속예술축제조직위백서, 2018
 •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기업 제품 패키지 및 브로슈어 디자인, 2016-2018
 • 2018강원국제비엔날레 EI 디자인, 2017
 • 2016전국소년체전 CI, BI 디자인, 2016
 • 한국관광공사 특구 관광지 관광상품 개발 및 연구, 2015
 • 2015전국체전 BI 디자인, 2015
 • 2014강원도민체전 CI, 2014
 • 「시간의 빛 -해인사 Fantasy」, 해인사 성보유물해인사 성보박물관 벽화 프로젝트 2001
 • 「시간의 연상 - 흙과 불」, 경기도 광주 조선관요박물관, 20M 돔 및 천정화 프로젝트, 2001
 • 「장천 1호분」,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실 프레스코 벽화 재현 제작, 1995-1996 
 •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인간의 숲, 회화의 숲’ 출품 2000
 • 프레스코, 그 천년의 미학展 - 성곡미술관 1999
 • 프레스코-FRESCO展 -조형갤러리 1998
 • Refill展-갤러리 서호 1996

조정래
  • 분야

    동양미학·예술사

  • 성명

    국문 조정래

  • 직위

    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인문1관 2529호

  • 연락처

    033) 248-1594

  • 이메일

학력

- 中國社會科學院 博士(美學藝術史) 

 

- 北京大學 碩士

 

- 高麗大學校 學士

주요경력

- 中央大學校 硏究敎授 


- 臺灣 南臺科技大學 客座敎授 


- 韓國大學漫畵動漫最强展 評審委員 


- 韓國首爾國際動漫節 評審委員 


- 中國厦門國際動漫節 評審委員 


- 臺灣畵世代動漫影展 工作坊 大師


- 韓國文化藝術敎育振興院 敎育委員 


- 國立中央圖書館 諮問委員 


- 融合文化內容硏究所 所長 


- 地域文化藝術支援中心 主任 


- 翰林大學校 地域協力團 團長


- 翰林大學校 中國學科 學科長

연구 및 저서

∎ 논문

 

- 2022 「中日戰爭時期抗戰漫畵運動輿漫畵造形性硏究」, 『翰林日本學』, 日本學硏究所

 

- 2022 「地區視覺藝術祭成果分析與發展方案?究」, 『漫畵動漫硏究』, 韓國漫畵動漫學會  

 

- 2021 「對臺灣漫畫的淵源和開展的探索性考察」, 『漫畵動漫硏究』, 韓國漫畵動漫學會  


- 2021 「江原道·路故事化和作爲文化內容的發展方案」, 『韓國內容學會論文誌』, 韓國內容學會 


- 2019 「東北亞地區對日本帝國文化的認識和接受」, 『韓國內容學會論文誌』, 韓國內容學會  


- 2018 「限韓令展開和文化內容産業的課題」, 『中國學論叢』, 高麗大中國學硏究所 


- 2017 「爲中國動漫制作的傳統色彩硏究」, 『韓國內容學會論文誌』, 韓國內容學會  


- 2017 「曹娥說話和文化原型內容事例硏究」, 『漫畵動漫硏究』, 韓國漫畵動漫學會  


- 2016 「中國薩埵太子本生古事壁畵的藝術形式和圖像敍事硏究」, 『中國語文論叢』, 中國語文硏究會  


- 2016 「中國古代藝術的圖像敍事和視覺文化硏究」, 『韓國內容學會論文誌』, 韓國內容學會  


- 2015 「中國 '二十四孝'和 '三綱行實圖'中有關孝的圖像敍事硏究」, 『中國文化硏究』, 中國文化硏究學會 


- 2014 「燉煌<九色鹿本生>壁畫和動漫<九色鹿>的圖像敍事硏究」, 『韓國內容學會論文誌』, 韓國內容學會  

 

- 2014 「從敘事角度看漫畫〈荊軻刺秦王〉的圖象表現」, 『韓國內容學會論文誌』, 韓國內容學會  


- 2014 「臺灣動畫的發展及其動向分析」, 『韓國內容學會論文誌』, 韓國內容學會  


- 2013 「動漫在文化藝術教育方面的討論分析」, 『漫畵動漫硏究』, 韓國漫畵動漫學會  


- 2011 「宋代山水畵的發展和文人審美意識」, 藝術和媒體,『韓國映像媒體協會』


- 2011 「首爾國際動漫節,其現狀和課題」, 『漫畵動漫硏究』, 韓國漫畵動漫學會  


- 2010 「韓國傳通民畵的藝術特點與審美特徵硏究」, 『文化史學』, 韓國文化史學研究會 


- 2010 「清代風俗年畫的藝術造型和審美意識」, 『亞世亞文化』, 亞世亞文化研究 所


- 2009 「中國傳統繪畫向現代影像藝術的轉變」, 『文化史學』, 韓國文化史學研究會 

 

- 2014  國家檢認定敎科書『漫畵動漫基礎』主著, 江原道敎育廳出版   


- 2009 『中國文化的樂趣』共著, China House出版  


- 2007 『東西藝術與美學』共著, Sol Book出版  


- 2007 『Manhwa, Another Discovery in Asian Comics』共著, 韓國文化內容振興院出版  


- 2004 『中國常務』共同飜譯,中國五洲出版社  等多數

기타

- TechArt: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 編輯委員 


- 韓國漫畵動漫硏究 / 編輯委員 


- 美術史學報 / 編輯委員 


- 中國語文硏究會 / 企劃理事 


- 高麗大中國學硏究所 / 硏究理事

 

최유석
  • 분야

    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행정

  • 성명

    국문 최유석

  • 직위

    교수

  • 연구실

    사회·경영1관 10406

  • 연락처

    033-248-1777

  • 이메일

학력

2006 - 2009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Ph.D. 사회복지학)

2001 - 2005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MSSW, 사회복지학)

1998 – 2000 서울대학교(문학석사, 사회복지학)

1989 - 1993 서울대학교(문학사, 사회학)

주요경력

2021.1 ~ 현재 비판사회복지학회 대외협력위원장

2020.7 ~ 현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편집위원장

2019.7 ~ 2020.6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연구위원장

2018. 7 ~ 2020. 6 :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장

2018. 7 ~ 2020. 6 :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주임교수

연구 및 저서

Google Scholar

 

논문

 

최유석, 최창용. 2020. 한국사회의 질에 대한 인식과 생활만족, 한국사회정책, 27(3): 165-199.

 

이비아, 최유석, 2020.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연구, 59(1): 213-250.

 

최유석, 2018. 행복 불평등: 행복의 분산과 관련요인, 한국인구학, 41(4): 39-64.

 

최유석, 2017. 불평등 완화의 정치경제 :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2): 494-50.

 

최유석, 2016. Evaluating Performance-Based Contracting in Welfare-to-Work Programs: Selection and Earnings Gain Effects in Wisconsin Works,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31(1): 31-61.

 

최유석, 2016. 노인의 거주형태와 경제적 지원: 기혼여성의 부모, 시부모의 비교, 한국인구학, 39(1): 59-84.

 

최유석, 2014. 세대간 연대의식의 기반: 가족주의 연대, 한국인구학, 37(4): 61-87.

 

Qu, Rong-Xin, 최유석, 2013. 중국 농민공 양로보험제도 비교연구: 제도특성과 소득보장효과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22(1): 245-275.

 

홍대원, 최유석, 2013. 사회복지조직에서 권한위임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 거주시설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2): 253-286.

 

정은희, 최유석, 2013.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연구, 33(1): 5-34.

 

이명진, 최유석, 2012. 사회복지사의 자아분화 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4): 173-197.

 

최유석, 2011. 한국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분산: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지식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8(1): 57-83.

 

이상은, 최유석, 2010. 서울시 강남과 비강남 지역간 소득 및 재산 격차와 요인분해, 한국사회복지학, 62(3): 31-58.

 

최유석, 2010,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아버지의 비공식 양육비 제공: 가족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2(2): 57-85.

 

기타

주요연구주제

복지행정, 비교복지국가, 복지정책분석

 

학회활동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연구분과위원

 

저서

최유석, 2016. 세대 간 연대와 갈등의 풍경, 한울.

신서인
  • 분야

    현대국어문법

  • 성명

    국문 신서인

  • 직위

    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인문1관 2605호

  • 연락처

    033-248-1517

  • 이메일

학력

서울대학교(학사, 석사, 박사)

주요경력

•2023.01.01 ~ 현재 : 국어국문학전공주임교수

•2022.09.01 ~ 2022.12.31. : 한국어교육센터장

•2021.03.01 ~ 2021.08.31. : 한국어교육센터장

•2019.02.01 ~ 2020.12.31. : 인문학부장

•2019.01.01 ~ 2020.12.31. : 국어국문학전공주임교수

•2015.10.01 ~ 2017.02.28. : 한국어교육센터장

•2010.11.01 ~ 2013.08.31. : 한국어교육센터장

•2008.09. ~ 현재. : 한림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전공 조교수, 교수

•2006.09. ~ 2008.08. : 서울대학교 조교

•2002.07. ~ 2004.01. :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연구원

•2002.03. ~ 2008.08. : 가톨릭대학교, 서울대학교, 충북대학교, 홍익대학교 등 강사

•2000.02. ~ 2002.05. : (주) 언어과학 주임연구원

연구 및 저서

■논문

- 2022. 의미역 표지 부착을 위한 부가어의 의미역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57,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 2022. 개체명 분석 및 개체 연결 말뭉치 구축의 현황과 문제점, 개념과 소통 30, 한림과학원.

- 2021. 주어 이외의 논항을 가지는 ‘NP-이다’ 구성 연구, 우리말글 91, 우리말글학회.

- 2020. 한국어 의미역 기술 모형 개선을 위한 연구 – Korean PropBank 프레임파일의 구조 개선을 중심으로 -, 한국어 의미학 70, 한국어의미학회.

- 2019. 한국어 의미역 말뭉치 구축을 위한 의미역 표지 연구, 한국어 의미학 66, 한국어의미학회.

- 2019.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문형 및 어휘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학 83, 한국어학회.

- 2017.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복지 담화 연구, 개념과 소통 20, 한림과학원.

- 2017. 한국어 문형 연구, 태학사.

- 2017. 코퍼스를 이용한 담화 분석 방법론, 한국어 의미학 55, 한국어의미학회.

- 2017. 양태 표현의 다의성과 구조적 중의성, 우리말글 72, 우리말글학회.

- 2016. 대선 기간의 복지 담화 연구, 텍스트언어학 4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2016. 대격 중출 구문에서의 ‘을/를’의 기능 연구 –타동성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68, 우리말글학회.

- 2015. 코퍼스를 이용한 신문기사 담화 분석 -‘성장’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39.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2014. 담화 구성 요소를 고려한 문장부사 하위분류 한국어 의미학 44. 한국어의미학회.

- 2014. ‘이/가, 을/를’의 비전형적인 분포와 기능. 국어학 69. 국어학회.

- 2013. Comparing Evaluative Language in the Corpora of South Korean Government and NGO Documents on Environmental Issues. 어학연구 49-3. 언어교육원. (공저)

- 2012. A corpus-based study of green discourse in the South Korean press in comparison with the US press. 사회언어학 20-1. 한국사회언어학회. (공저)

- 2011. 문장부사의 위치에 대한 고찰. 국어학 61. 국어학회.

- 2010. Using corpus linguistics in the study of media language: a case study of the use of democracy as binomials in US and South Korean newspaper corpora. 사회언어학 18-1. 한국사회언어학회. (공저)

- 2010. 부사성 명사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47. 한국어학회.

- 2009. 동사 '생각하다'의 문형에 대한 고찰. 관악어문연구 34.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2009. 통사적 공범주. 학여와 함께하는 국어학. 태학사.

- 2009. 어순 변이와 문장 의미 해석. 한국어 의미학 28. 한국어의미학회.

- 2007. 한국어의 어순 변이 경향과 그 요인에 대한 연구. 국어학 50. 국어학회.

- 2007. 結果狀態 意味役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13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2006. 구문 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문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3. 수량 명사구 및 고유명사와 결합하는 접미사에 관한 연구. 국어학논집 5.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콘텐츠 담당자 : 김연희

  • 전화번호 :033-248-3299
  • e-Mail :lincplus@hallym.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