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
- 「70년대 노동현실을 여성의 목소리로 기억/기록하기-여성문학(사)의 외연 확장과 70년대 여성노동자 수기」, 『여성문학연구』3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 「전후 ‘감상적’ 여성소설의 계보: 감상성과 시대성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3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 「1960년대 여성의 문학·교양 형성의 세대적 특성-잡지 <여학생>의 문학란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61호, 현대문학 이론학회, 2015
- 「전후 여성교양과 문학사 연구의 실천성 확보를 위한 시론」, 『Comparative Korean Studies』 22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 「‘한국여류문학상’이라는 제도와 1960년대 여성문학의 형성」, 『여성문학연구』3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 「여성성, 여성적인 것과 근대소설의 형성」, 『민족문학사연구』52호, 민족문학사학회, 2013
-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의 정전 만들기와 번역-새로운 여성문학 선집 발간을 위한 시론」, 『Comparative Korean Studies』21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 「195,60년대 여성-문학의 배치-<사상계> 여성문학 비평과 여성작가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 「한국 여성문학 연구 장의 변전과 과제-<한국여성문학학회>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 「대학 글쓰기에서 첨삭-상담-고쳐쓰기 연계 교육의 효과 연구-한림대학교 글쓰기 멘토링 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6권 4호, 2012
- 「세계성, 민족성, 지방성-일제 말기 로컬 상상력의 층위」, 『한국근대문학연구』25호, 한국근대문학회, 2012
- 박완서 소설의 대중성 연구-1980년대 여성문제 소설 다시 읽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54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2012
- 「지적 해부와 민감성 사이, 전후 현실에 대한 젠더화된 인식-박경리의 전후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47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 「486세대 여성의 고정희 문학 체험-80년대 문학담론과의 길항관계를 중심으로」, 『Comparative Korean Studies』19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 「발견되는 성, 전시되는 성-식민지 근대와 섹슈얼리티의 접속」, 『시학과 언어학』21호, 시학과 언어학회, 2011
- 「근대 여성작가의 지식/지성 생산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여성문학연구』2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 「동화와 이화 사이」, 『안과밖:영미문학연구』29호, 영미문학연구회, 2010
- 「1950년대 세계여행기와 소설에 나타난 로컬의 심상지리-전후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22호, 한국근대문학회, 2010
- 「대학 독서토론 교육의 모형연구-텍스트 읽기, 말하기, 쓰기 통합 모형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23호, 강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09
- 「전후 여성지식인의 표상과 존재방식-박경리의 <표류도>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45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9
-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비판의식과 낭만성」, 『페미니즘연구』8권2호, 한국여성연구소, 2008
- 「반공주의의 전략적 수용과 여성문단」, 『어문학』101호, 한국어문학회, 2008
- 「근대 여성문학의 형성 원리 연구」, 『어문연구』136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 「전후 여성문학 장의 형성과 <여원>」, 『여성문학연구』1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 「탈근대, 탈민족 담론과 페미니즘(문학)연구-경합과 교섭에 대한 비판적 읽기」, 『민족문학사연구』33호, 민족문학사학회, 2007
- 「2000년대 한국여성문학비평의 쟁점과 과제」, 『안과밖:영미문학연구』21호, 영미문학연구회, 2006
- 「일제 말기 국민문학의 존재 양상-이효석의 <녹색 탑>을 중심으로」, 『어문연구』130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의 소설화와 그 한계-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를 중심으로」, 『우리말글』36호, 우리말글학회, 2006
- 「여성성과 대중성이라는 문제설정-젠더화된 문화적 기억의 재현을 중심으로」, 『시학과언어학』10호, 시학과언어학회, 2005
- 「일제 말기 여성작가들의 친일담론 연구」, 『어문연구』127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무의식의 한 양상-향토와 조선적인 것의 발견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27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5
-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정치학-197,80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11호 한국근대문학회, 2005
- 「여성작가를 둘러싼 공적담론의 두 양식-공개장과 좌담회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26호, 민족문학사학회, 2004
- 「1930년대 소설과 식민지 무의식의 한 양상-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향토의 발견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10호, 한국근대문학회, 2004
- 「강경애 후기 소설과 체험의 윤리학」, 『여성문학연구』1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 「옥시덴탈리즘의 심상지리와 여성성의 발명」, 『민족문학사연구』23호, 민족문학사학회, 2003
- 「식민 시대 민족의 자기 구성방식과 여성」, 『한국근대문학연구』8호, 한국근대문학회, 2003
-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과 몸의 서사」, 『여성문학연구』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 「여성 성장소설의 대중성」, 『문학교육학』10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2
- 「증언의 양식, 생존·성장의 서사-박완서의 전쟁재현소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0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2
■ 저서
- 『젠더와 사회』, 동녘, 2014 (공저)
- 『여성들이 기억하는 전쟁과 분단』, 아르케, 2013 (공저)
- 『젠더와 번역』, 소명출판, 2013 (공저)
- 『이효석 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12 (공저)
-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 소명출판, 2012
- 『근대문학의 탈식민성과 젠더정치학』, 역락, 2009
- 『경계에 선 여성문학』, 역락, 2009
- 『허스토리의 문학』, 새미, 2003
- 『1930년대 소설과 근대성의 지형학』, 소명출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