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글로벌 일류 대학을 향한 한림의
중장기 비전과 연차별 실천 전략
(Vision & Action 2016~2022 /
Vision & Action 2018~)
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자연과학/보건/생명 분야 수월성 있는 현장 적합형 전문인력 양성
자연과학대학
전공명 | 참여학과 | 설치년도 |
---|---|---|
의약신소재 | 화학과, 생명과학과, 바이오메디컬학과, 식품영양학과 | 2017 |
사업명 | 연구과제명 | 사업기간 | 책임자 | 참여학과 |
---|---|---|---|---|
4단계 두뇌한국(BK21) 미래인재양성사업 |
다중오믹스 기반 기능성 생물소재 연구 | 2020. 9 ~ 2027. 8 |
김영동 | 생명과학과 |
식품소재기반 노인성질환 기전연구 | 임순성 | 식품영양학과 |
학과 | 책임교수 | 공모분야 | 연구주제 | 지원기관 | 사업기간 |
---|---|---|---|---|---|
화학과 | 이정태 | 자연과학 | 폴리페놀계 유도체들의 pi컨쥬게이션 확장과 heteroatom치환이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연구재단 | 2017. 6~2020. 5 |
Satish | 자연과학 | 암 바이오 마커의 고감도 검출을 위한 확장 된 π-컨쥬게이션 시스템 및 헤테로 원자가 치환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디자인 및 합성 | 한국연구재단 | 2021. 3~2024. 2 | |
자연과학 | 미세소관을 표적으로 하는 확장된 π-conjugation system을 가진 benzimidazole 유도체의 항암 활성을 위한 설계, 개발 및 평가 |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 | 2021. 5~2021.12 | ||
생명과학과 | 김영동 | 생물자원발굴 및 분류연구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반 식물자원 디지털염기서열 분석 연구 | 국립생물자원관 | 2022. 4~2022.11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기본연구) | 노루오줌 종 복합체의 계통발생 | 한국연구재단 | 2018. 6~2021. 5 | ||
전성호 | 기초연구-생물학 | 비번역 RNA에 의한 선천면엮게 극화 및 면역반응 조절기전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6.11~2019.10 | |
중견연구-생물학 | 식물유래 천연 화합물을 이용한 신규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20. 3~2023. 2 | ||
김봉수 | 원천기술개발사업 | 아토피피부염 파마바이오틱스 발굴 및 기전 연구 | 미래창조과학부 | 2017. 5~2022. 5 | |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사업 | 두피 마이크로바이옴 분석기반 탈모 피부 생태계 연구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2020. 4~2022. 12 | ||
정동훈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기본연구) | 나노포어 시퀀싱 기반 mRNA 분해산물 연구를 통한 벼의 복합스트레스 적응기작 규명 | 한국연구재단 | 2021. 6~2024. 2 | |
KGC인삼공사 전략과제 | 고려인삼의 다년생 형질 관련 small RNA 발굴 | 고려인삼학회 | 2020.10~2022. 9 | ||
김경원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piRNA에 의해 조절되는 신경 재생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9. 3~2022. 2 |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광유전학 기반 질병 모델을 통한 단백질 상분리 및 신경퇴행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2. 3~2025. 2 | ||
김재진 | 우수신진연구 | 전사과정에서 유도되는 유전체불안정성 연구를 통한 새로운 유방암 발병 기전 규명 | 한국연구재단 | 2022.03~2025.02 | |
바이오메디컬학과 | 최수영 |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후속연구) | 단백질 침투기술 기반 퇴행성 뇌질환 치료용 융합단백질 실용화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9. 6~2025. 2 |
원천기술개발사업 | 칼슘 채널을 표적으로 하는 안과질환 치료용 침투성 단백질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18. 4~2022. 12 | ||
조윤신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인구집단에서의 질환 예측모델 및 제어물질 개발을 위한 유전체실용화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0. 6~2023. 5 | |
박진서 | 중점연구소지원사업 | 단백질 침투기술 기반 퇴행성 뇌질환 치료용 융합단백질 실용화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9. 6~2025. 2 | |
이근욱 | 국가마우스표현형기반구축사업 | 마우스 면역표현형 및 감염 면역반응성 분석 기술 구축과 서비스 기반 확립 | 한국연구재단 | 2014.12~2023.11 | |
지역대학우수과학자 지원사업 | 대식세포 제어기술 기반 궤양성 대장염 치료 표적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1. 6~2024. 5 | ||
박종국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항암치료법 개발을 위한 비암호화 RNA의 작용기전 분석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2. 3~2025. 2 | |
식품영양학과 | 강일준 |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 장기간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노화동물의 인지기능 변화 기전연구 및 기억력 개선 소재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0. 6~2023. 2 |
원천기술개발사업 | 대사이상 동물모델에서 허혈성 뇌손상 악화 억제 천연소재 발굴 및 표적 인자 규명 | 한국연구재단 | 2018. 7~2020.12 | ||
임순성 | 중점연구소지원사업 | 영양역학기반 노인성질환 예방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1. 6~ 2030. 5 |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페루산 신규자원으로부터 마이크로분획-고효율 동일물질 회피법을 활용한 만성 당뇨합병증 조절 신규소재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21. 3~ 2026. 2 | ||
심재훈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탄수화물효소를 이용한 맞춤형 포접기술 개발 및 활용 | 한국연구재단 | 2021. 3~2026. 2 | |
이전기술 사업화 R&D | 칡을 활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원료 및 간편식 개발 | 한국산업단지공단 | 2021. 9~2022. 8 | ||
박소현 | 생애첫연구 | 비만역학의 융복합적 이해 | 한국연구재단 | 2017. 3-2020. 2 |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 영양 취약 청년층 대상의 지속가능한 영양관리 | 한국연구재단 | 2022. 2-2024. 2 | ||
박경호 | 중견연구자지원사업(유형2) | 내인성 카나비노이드 조절 식품소재를 활용한 피부 건선염 개선기전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2.03~2026.02 | |
공동연구과제 | 지질대사체 Map 구축 | 한국과학기술정통부/한국식품연구원 | 2021.05~2026.12 | ||
전수경 | 생애첫연구 |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발병 기전에서 BCO1 유전자 다형성이 세라마이드 대사에 미치는 역할 규명 | 한국연구재단 | 2022. 3~2025. 2 | |
환경생명공학과 | 김헌기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기본연구) | 고점도액 및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이용한 파쇄대 등 불균일 대수층의 오염원 제거기술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16. 6-2022. 5 |
김정원 | 환경 | 수중 오염물질간의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일어나는 자정현상을 모방한 새로운 폐수처리 공법 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9. 3~2022. 2 | |
환경 | 동결에 의한 오염물질 분해 기작 연구 및 동결 수처리 공정 기초기술 개발 | 해양수산부 | 2020. 1~2022.12 | ||
박진용 |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 | 인도네시아 정책자문사업: 발릭파판-사마린다 폐기물 관리 및 상수도 사업 | 한국개발연구원(KDI) | 2022. 1.~2022.10 | |
학술 용역 | 전시 비상급수 기준 수립 연구 | 공군본부 | 2022. 5~2022.10 | ||
언어병리학전공 | 이윤경 | 공동연구사업 | 언어발달, 언어치료교육, 언어공학 분야의 융합적 접근을 통한 한국형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 및 전생애 언어발달모형 구축 | 한국연구재단 | 2019. 7~2022. 6 |
중견연구사업 | 자동 언어장애 진단을 위한 언어자원 구축 및 딥러닝/자연언어처리 | 한국연구재단 | 2019. 3~2022. 2 | ||
하승희 | 글로벌연구네트워크사업 | 한국어와 영어권 아동의 초기 발성 비교를 통한 한국형 초기 발성 모델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16. 9~2019. 8 | |
인문사회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아동 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딥러닝 자동음성인식 기반 말소리 평가 시스템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21. 7~2024. 6 | ||
윤지혜 | 인문사회공동연구 | 언어발달, 언어치료교육, 언어공학 분야의 융합적 접근을 통한 한국형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 및 전생애 언어발달모형 구축 | 한국연구재단 | 2019. 7~2022. 6 | |
이공기초연구사업(보호연구) | 원격 ICT기반의 치매진단 쓰기검사 개발 및 한국형 쓰기모델의 신경학적 기전 규명 | 한국연구재단 | 2021. 6~2024. 5 | ||
이승진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생애첫연구) | 음성장애의 중재 후 음성 결과의 종합적 정량화 및 인공지능 기반 예측 | 한국연구재단 | 2021. 9~2022. 8 | |
인문사회신진연구자지원사업 | 음성장애에서 음성 피로의 정량화를 위한 종합적인 지수의 개발 및 임상 적용 | 한국연구재단 | 2022. 5~2025. 4 | ||
청각학전공 | 김진숙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기본연구) | 청각보조기기의 리얼타임 원격조정시스템 연구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20. 6~2023. 2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음악지각검사와 청각장애를 위한 음악재활프로그램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20. 7~2023. 6 | ||
한우재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노인성난청의 원스톱 청각케어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구축 | 한국연구재단 | 2019. 6~2022. 2 | |
국제화기반조성사업/ 한-스웨덴 과학기술 공동연구사업 |
한국인 골도 청력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인공 뼈(skull simulator)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19. 4~2021. 3 | ||
진인기 | 신진연구지원사업 |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 음원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18. 3~2022. 2 | |
고객수요대응연구 | 개인 맞춤형 이명소리치료 어플리케이션 개발 |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 2020. 5~2021.12 |
구분 | 트랙 | 취득 자격증 |
---|---|---|
화학과 | 전공심화(응용화학/첨단의료소재) | 화학분석기사,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 생물공학기사, 위험물기능사, 조향사 |
헬스케어산업 전문가 양성 | ||
유무기소재 및 나노소재개발 인력 양성 | ||
생명과학과 | 바이오-헬스케어 전문가 | 생물분류기사(동물/식물), 품질관리기술사 |
세포․조직배양 전문가 | ||
환경․생태 전문가 | ||
※ 교직과정 | 중등학교정교사(2급) | |
바이오메디컬학과 | 엘리트 생명과학자 | 실험동물기술(1급, 2급), 생물공학기사 |
현장실무 전문가 | ||
환경생명공학과 | 대기/폐기물 | 대기환경기사, 폐기물처리기사 |
수질 및 상하수도 | 수질환경기사 | |
토양환경 | 토양환경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환경영양평가사 |
|
식품영양학과 | 영양사 | 영양사, 조리사 |
식품기업체 및 연구소 | 위생사, 식품기사 | |
언어병리학전공 | 말장애 전문가 | 언어재활사 |
아동언어장애 전문가 | ||
성인 및 노인언어장애 전문가 | ||
청각학전공 | 발달재활 | 청능사, 발달재활사 |
전문청능 | ||
진학(대학원) | ||
체육학과 | 재활운동 | 운동처방사, 재활운동사, 스포츠마사지사, 체력검사/관리지도사 |
스포츠지도자 | 전문스포츠지도사(1급, 2급), 생활스포츠지도사(1급, 2급) |
|
건강운동 |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경영관리사, 퍼스널트레이너(1급, 2급),운동관리사 |
콘텐츠 담당자 : 자연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