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사회학과

성경륭
  • 분야

    정치사회학

  • 성명

    국문 성경륭

  • 직위

    명예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별관 명예교수실

  • 연락처

  • 이메일

학력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 학사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사회학 박사 

주요경력

- 前 한국사회과학협의회 연구위원장 (2001.3 ~ 2002.12)  
- 前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위원장 (2003.4 ~ 2007.9)  
- 前 참여정부 청와대 비서실 정책실장 (2007.9 ~ 2008.2)  
- 前 한림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2010.9 ~ 2012.8)  
- 現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1991.3 ~ ) 

연구 및 저서

주요 논문 (2000년 이후)  
- 2000.12, “분단체제와 시민사회,”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아시아문화> 16호: 169-212.  
- 2001.5, “세계화의 딜레마: 세계주의와 국지주의의 갈등,”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35권 2호: 29-57.  
- 2001.8,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복지국가의 발전: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비교,”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46권 3호: 145-177.  
- 2001.12, “한국사회의 불신구조와 신뢰증진 방안,” 정책기획위원회, <정책포럼> 29호: 141-171.   
- 2003.3, “국민국가의 위기와 재편: 제3차 국가형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정치> 19권 1호: 181-213.  
- 2008.12 “Strategic Regionalism and Realignment of Regional Electoral Coalitions: Emergence of a Conservative Government in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42, No.8: 13-38.   
- 2009.2, “지역낙후성의 구조와 전환을 바라보는 이론적 접근 (공저),” 지역사회학회, <지역사회학> 10권 2호: 31-62.  
- 2013.2, “지역불평등의 정치동학과 지역정책 분석: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 지역사회학회, <지역사회학> 14권 2호: 5-45.  
- 2013.8, “지역경제의 위기와 창조적 균형발전 전략의 모색 (공저),” 지역사회학회, <지역사회학> 15권 1호: 91-112.  
- 2014.2, “한국 복지국가 발전의 정치적 기제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8집 1호: 71-132.  
- 2015.6, “이중균열구조의 등장과 투표기제의 변화: 18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9집 2호.  
-2015.11. “세대균열과 세대연대 : 정치 영역과 사회정책 영역에서의 차별적 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4호.  
-2016.3. “사회집단과 정치권력: 변화하는 선거연합과 투표기제, 대통령선거(1992-2012) 분석,” <한국사회학> 제50집 제1호: 1~39.  
- 2016.3. “성장문명의 종언과 사회생태국가로의 전환: 공생과 평화의 신국가론 모색,” <세계지역학논총> 

 

저서 
<단독저서>  
 <균형사회와 분권국가의 전망> (2013), 한울아카데미.  
 <국민국가개혁론> (1996), 한림대출판부.  
 <체제변동의 정치사회학> (1995), 한울아카데미. 
<공동저서>  
 <지방분권형 국가만들기> (2003), 나남  
 <국가균형발전의 비전과 전략> (2004), 동도원  
 <동북아시대의 한반도 공간구상과 균형발전전략> (2005), 제이플러스애드  
 <국부창출을 위한 新산학협력과 제4세대 R&D> (2007), 코리아프린텍  
 <지역창조의 사회학> (2012), 소화  
 <현대문명의 위기: 공생의 대안문명을 찾아서> (2014), 나남  
 <복지국가론> (2014), 나남  
 <불평등 한국, 복지국가를 꿈꾸다> (2015), 후마니타스 

박준식
  • 분야

    산업사회학

  • 성명

    국문 박준식

  • 직위

    교수

  • 연구실

    사회·경영 1관 10223

  • 연락처

    033-248-1743

  • 이메일

학력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학사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사회학 석사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사회학 박사 

주요경력

- 前 The University of Chicago, The Center for East Asian Studies Post Doc  
- 前 The Japan Institute of Labor Invited Overseas Researcher
- 前 Max Planck Institute 해외초빙연구원
- 前 한림과학원 부원장
- 前 한림대학교 기획처장
- 前 한림대학교 국제교육원장
- 前 한림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 現 한국지방분권아카데미 분권혁신연구소장
- 現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 現 한림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소장
- 現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소장
- 現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연구 및 저서

출간저서 및 주요논문  
- <생산의 정치와 작업장 민주주의> (1996), 한울아카데미  
- <세계화와 노동체제> (2001), 한울아카데미  
- <경제발전과 산업민주주의> (2002), 소화  
- <분권과 혁신> (2004), 소화  
- <구조조정과 고용관계 변화의 국제비교> (2004), 한울아카데미  
- <춘천리포트3> (2004), 나남  
- <마을창조> (2006), 소화  
- <국가경쟁력과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지표 연구> (2006),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 <대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2008), 강원발전연구원  
- <춘천리포트4> (2009), 나남  
- <자동차산업의 고용위기와 극복 전략에 관한 국제 비교> (2010), 한국노동연구원  
- <대중소기업 인력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2010), 고용노동부  
- <창조지역 육성을 위한 지역인재양성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2010), 강원발전연구원  
- <한국 노동조합의 조직 현황과 발전 전망 연구> (2011), 한국노동연구원 

- 글로벌 시대의 체제 전환 2012

- 지역창조의 사회학: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하여 2012

- 한국의 산업발전과 숙련노동 2013

- 공무원 노사관계의 현황과 발전방안 2013

- 사회적기업의 유형별 심층 사례 연구 2014

- 한국의 기업 사회적 책임(CSR), 정부, 공공정책 2015

- 노인 자살 연구 : 춘천 노인 생활실태조사를 중심으로 2015

- 대안적 노동체제의 탐색 2016

- 1987년 이후 30년: 새로운 노동체제의 탐색 2017

- 한국의 경제사회 발전과 ICT 산업의 진화 2017

- Strategic,Policy, and Social Innovation for a Post-Industrial Korea 2018

- ICT 클러스터의 혁신과 진화 2018

- 일터혁신과 노동조합의 과제 2019

- 일터혁신의 이론 및 실천에 관한 기초연구 2019

- Demographics and Innovation in the Asia-Pacific 2021

- 지역격차 수준에 대한 인식과 그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수도권.비수도권을 중심으로 201208

- 지역 고등교육 산업의 위기와 지역의 대응 2012.08

-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2012.12

- 지역격차 문제의 인식 지형과 변화의 전망 2013.02

- 지역경제의 위기와 창조적 균형발전 전략의 모색 2013.08

- 사회적 기업의 발전 경로 비교: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2014.02

- 자살생각에 대한 가족주의의 영향 분석 2014.07

- A Comparative Fieldwork Study on the Korean, Japanese, and Taiwanese Multinational Managers as a Significant Factor of Global Corporate Competition in China 2014.08

- 강원도 폐광지역의 사회경제적 기반 조성을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먹거리 협동조합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2014.12

- 비공식 사회관계와 자살행동 가능성: 노인의 자녀관계와 친구, 이웃관계를 중심으로 2015.05

- Reinventing Alternative Ways of Community Regeneration The Social Experiments of Former Mining Areas and the Conditions for Sustainability 2015.08

- 공무원 임금 결정 제도와 운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16.06

- Contending Pathways of Social Enterprise Incubation and the Questions of Sustainability in South Korea 2016.06

- Entrepreneurial Understanding of Korean Big Business on the Emergence of China 2016.09

- 춘천지역 노인의 빈곤과 자살행동가능성 빈곤과 사회관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2017.04

- Social Enterprise in South Korea 2017.11

- 아동기 또래에 의한 신체적, 심리적 폭력이 성인기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2017.11

- 영국의 첨단기술 클러스터- 클러스터 정책의 추진 과정과 특징 및 과제 2018.04

- 포스트 산업시대 산업문화 유산의 활용방안 모색 :강원도 탄광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2019.04

엄한진
  • 분야

    다문화연구

  • 성명

    국문 엄한진

  • 직위

    교수

  • 연구실

    사회·경영 2관13209

  • 연락처

    033-248-1749

  • 이메일

학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학사  
Université Paris-III 북아프리카학과 사회학 석사  
Université Paris-VIII 정치학과 정치사회학 박사 

주요경력

前 춘천시민연대 공동대표

現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現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학과장

연구 및 저서

연구분야: 이슬람주의, 이주연구, 극우주의, 북아프리카, 사회적 경제

 

• 『다문화사회론』(소화, 2011)
• 『새로운 전쟁으로서의 중동전쟁』(2013) 
• 『대안운동으로서의 강원지역 사회적 경제 : ‘연대의 경제론’을 중심으로』(2014)
• 『강원지역 농축산업 분야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과 일상생활』 (2014)
• 『이슬람주의』(한국문화사, 201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서구가 바라본 오리엔트, 오리엔트가 바라본 서구』(2015)
• 『동질화에 대한 반발로서의 극단주의 현상: IS와 유럽 극우의 사례를 중심으로』(2015)
• 『한국사회 인종주의의 주요 양상과 특징』(2016)
• 『탈서구중심주의는 가능한가: 비서구적 성찰과 대응』(아카넷, 2016)
• 『한국의 대통령 리더십과 국가관리: 디아스포라』(2017)
• 『한국사회와 미래의 통합』(2017)
• 『프랑스의 이민문제』(서강대학교출판부, 2017,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 『사회적 가치와 사회혁신 : 지속가능한 상생공동체를 위하여』(한울, 2018,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한국의 대통령 리더십과 사회통합: 젠더와 사회갈등』(2018)
• 『한국과 아랍의 정체성 논의 비교』(2018)
• 『한국의 대통령 리더십과 사회통합』(2019)
• 『예외주의에 갇힌 중동의 소수자 담론』(2020)
• 『'아랍의 봄' 이후 중동의 혁명과 반혁명』(2020)
• 『'아랍의 봄'이 환기시킨 이주의 정치적 차원』(2021.06)
• 『이민 2세대 개념을 통해서 본 한국의 이주배경 청소년 문제』(2021.08)

기타

엄한진 교수님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4392480604 

신경아
  • 분야

    가족사회학

  • 성명

    국문 신경아

  • 직위

    교수

  • 연구실

    사회·경영 1관 10327

  • 연락처

    033-248-1745

  • 이메일

학력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학 학사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사회학 석사  
•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 박사 

주요경력

• 現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한림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장 
• 前 한국여성학회 회장
• 前 한국사회정책학회 회장 
• 前 한국가족학회 부회장
• 前 한국사회학회/ 現 비판사회학회 이사 
• 現 총리실 산하 양성평등위원회 위원 
• 現 여성가족부 장관정책자문위원
• 現 (재)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이사 
• 現 경찰청 성평등위원회, 前 경찰개혁위원/인권위원회 위원 
• 前 강원도 양성평등위원회 위원장 
• 前 서울시 성별임금격차개선위원회 위원장 
• 前 서울시 성평등위원회 위원
• 前 한국여성단체연합 정책위원 
• 前 (사)한국여성연구소 소장 
• 前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 
• 前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 
• 現 한국일보, 前 서울신문 칼럼니스트

연구 및 저서

연구분야: 가족사회학, 젠더사회학, 여성학, 여성노동

 

-  저서
• 『한국사회와 지배이데올로기』(녹두, 1992, 공저)
• 『새 지역여성학 강의』(부산여성사회교육원, 1999, 공저) 
• 『새 여성학 강의』(동녘, 1999, 공저)
• 『여성과 일』(동녘, 2001, 공저)
• 『박용옥 교수 정년퇴임기념 논총 "유교문화와 여성의 정체성"』(성신여대한국여성연구소, 2001, 공저)
• 『한국 여성노동자의 현실과 여성노동운동』(한국노동연구원, 2006, 공저)
• 『여성노동, 20년의 변화 그리고 전망』(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한국여성재단, 2007, 공저)
• 『젠더, 이주, 모바일놀이』(한울아카데미, 2008, 공저)
• 『일, 가족, 젠더』(한울아카데미, 2009, 공저)
• 『그대와의 해오름: 한국여성노동자회 20년사』(한국여성노동자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9, 공저)
• 『춘천리포트 4: 개방시대의 춘천』(나남, 2009, 공저)
• 『산업사회의 이해』(한울아카데미, 2009, 공저)
• 『사회학: 비판적 사회 읽기』(한울아카데미, 2012, 공저)
• 『여성, 나를 말하다』(경기도여성비전센터, 2012) 
•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다산, 2014, 공저)
• 『젠더와 사회』(동녘, 2014, 공저)
• 『우리는 왜 이런 시간을 견디고 있는가』(코난북스, 2015, 공저)
• 『Retirement in Japan and Korea』(Routledge, 2015, 공저)
• 『여성과 일(개정증보판)』(동녘, 2015, 공저)
• 『한국의 경제사회 발전과 ICT 산업의 진화』(한울아카데미, 2017, 공저)
• 『Korean Women: A Sourcebook』(AKS PRESS, 2017, 공저)
• 『문화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질적연구방법론』(휴머니스트, 2018, 공저)
• 『꿈의 사회학』(다산출판사, 2018, 공저)
• 『열 가지 당부: 십대부터 알아야 할 노동 인권 이야기』(창작과 비평사, 2019, 공저)
• 『노동, 운동, 미래, 전략』(이매진, 2020)
• 『코로나 시대의 페미니즘』(휴머니스트, 2020, 공저)
• 『2020 한국민주주의 연례보고서』(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20)
• 『다시 촛불이 묻는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경제개혁』(동녘, 2021)

 

-  연구논문
• 『여성의 고용불안정과 산업예비군론』(경제와사회 7. 1990)
• 『일본ㆍ스웨덴ㆍ소련의 모성보호정책과 현실』(여성과사회 2. 1991)
• 『기술혁신과 여성노동』(여성과사회 3. 1991)
• 『여성 가내노동자의 현실과 보호』(여성연구 4. 1994)
• 『희생의 화신에서 욕구를 가진 인간으로: 90년대 모성의 변화』(여성과사회 9. 1998)
• 『그 많은 여성실업자는 어디로 갔나: 가부장적 사회의 여성실업』(동향과전망 40호. 1999)
• 『노동시간과 여성의 노동 경험』(문화과학 20. 1999)
• 『조직 내 여성노동자의 배제와 통합, 분리에 관한 연구』(서강대사회과학연구 8. 1999)
• 『21세기 가족과 모성의 변화』(성신여대여성연구 1. 2001, 공저)
• 『노동운동은 성평등한가: 노동운동 내 여성의 구조적 주변화에 관한 고찰』(여성과사회 12. 2001, 공저)
• 『노동시장과 모성, 가족의 문제』(경제와사회 51. 2001)
• 『근대/자본주의/한국사회의 성차 해석과 여성의 조건』(문화과학 32. 2002)
•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에 내재된 전통과 근대의 문제』(한국문화인류학 36. 2003, 공저)
• 『지방자치단체 여성정책의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페미니즘연구 6. 2006)
• 『산업화 이후 일-가족 문제의 담론적 지형과 변화』(한국여성학 23(2). 2007)
• 『지역사회의 소수자로서 다문화가족: 현실과 문제』(성신여대여성연구논총 7. 2009)
• 『일-삶의 균형(work-life balance)과 노동시간』(민주사회와정책연구 16. 2009)
• 『구술생애사에 나타난 여성노동자의 '젠더' 인식』(한국사회학연구 1. 2009)
• 『감정노동의 구조적 원인과 결과의 개인화: 콜센터 여성노동자의 사례 연구』(산업노동연구 15(2). 2009)
• 『저출산대책의 쟁점과 딜레마: 여성 없는 여성정책』(페미니즘연구 10(1). 2010)
• 『노인 돌봄 내러티브에 나타난 단절과 소통의 가능성: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의 전(前)과 후(後)』(가족과 문화 22(4). 2010)
• 『노인 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한국사회학 45(4). 2011)
• 『여성노인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돌봄 윤리의 재구성』(젠더와문화 2. 2011)
• 『산업화 세대의 일 중심적 삶: 남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 연구』(산업노동연구 17(2). 2011)
• 『서구사회 개인화 논의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페미니즘연구 12(1). 2012)
• 『시장화된 개인화와 복지욕구』(경제와사회 98. 2012)
• 『여성노동자의 생애이야기에 나타난 '개인'의 인식』(젠더와문화 6. 2013)
• 『시간제 노동과 성평등』(한국여성학 30(4). 2014)
• 『개인화 사회와 지역: 자기정체성의 자원으로서 지역과 자아의 유형』(지역사회학 15(4). 2014)
• 『신자유주의시대 남성생계부양자의식의 균열과 젠더관계의 변화』(한국여성학 30(4). 2014)
• 『시간선택제 여성노동자의 조직 내 주변화에 관한 연구』(한국여성학 31(2). 2015)
• 『감정노동의 사회학적 탐색: 이론적 고찰』(민주사회와정책연구 29. 2016)
•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페미니즘연구 16(1). 2016)
• 『여성정책에서 성평등정책으로?: 젠더정책의 오해와 이해』(한국여성학 32(4). 2016)
• 『20대 여성의 새로운 노동정체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여성주의 저널 「일다」의 에세이 분석』(아시아여성연구 56(2). 2017)
•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교차적 차별 경험에 관한 연구』(한국여성학 33(4). 2017)
• 『노동의 불안정성과 젠더: 시론적 접근』(페미니즘연구 19(1). 2019)
• 『여성 고용 안정화를 위한 유연근무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한국여성학 37(1). 2021, 공저)
• 『팬데믹 시대 여성노동의 위기에 관한 페미니즘적 성찰』(페미니즘연구 21(2). 2021)
• 『젠더 관점에서 본 유연근무제의 필요성과 딜레마』(가족과문화 33(4). 2021, 공저)

유팔무
  • 분야

    사회학이론

  • 성명

    국문 유팔무

  • 직위

    명예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별관 명예교수실

  • 연락처

  • 이메일

학력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학사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사회학 석사
- 베를린훔볼트대학교 철학 박사 

주요경력

- 前 중앙일보 기자  
- 前 민주노동당 강령위원  
- 前 민주노동당 당면제정위원  
- 前 사회민주당 부대표, 기관지위원장  
- 前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 前 사회민주주의네트워크 이사장  
- 前 사회민주주의연대 이사장  
- 前 사민주의정책연구회 이사장  
- 前 협동조합 사회민주주의연구 이사장  
- 前 강원일보 독자권익위원장  
- 前 사단법인 강원살림 이사장  
- 前 한림대 교수평의회 의장  
- 前 월간 <말> 기획위원  
- 前 대학교육협의회 <대학교육> 편집위원  
- 前 <경제와 사회> 편집주간  
- 前 <한림학보사> 주간   
- 참여연대 창립  
- 춘천시민연대 창립  
- 한국 사회민주주의 연구회 창립  
- 사회민주당 창당  
- 강원대안연구소 조직  
- 現 강원지방노동위원 차별시정공익위원  
- 現 춘천시민연대 고문  
- 現 참여연대 운영자문위원  
- 現 언론협동조합 춘천사람들 고문  
- 現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연구 및 저서

- <현대정치경제학> 번역  
- <한국사회와 지배이데올로기> 출간  
- <춘천리포트> 출간  
- <한림학보사> 주간   
-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편집  
- 한국사회연구 <동향과 전망> 편집  
- <한국사회민주주의 선언> 출간  
- <세계화와 사회민주주의> 출간  
- <중산층의 몰락과 계급양극화> 출간 

기타

유팔무 교수님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pmyou

김영범
  • 분야

    복지국가의 사회학, 사회노년학

  • 성명

    국문 김영범

  • 직위

    부교수

  • 연구실

    국제회의관 15308

  • 연락처

    033-248-3249

  • 이메일

학력

1991.02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문학사

1993.02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문학석사

1999.08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문학박사

주요경력

2017~2019 지역사회학 편집위원장

연구 및 저서

김영범∙박준식, 2006. 한국노인의 사회관계망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2)

(Kim young bum∙ Joon-Sik Park, 2006. A Study on the informal social network of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Cheol-sung Lee, Kim young Bum, Jae-Mahn-Shim, 2011. The Limits of Equality Project: Public sector expansion, sectoral conflicts and income inequality in post industrial econom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6(1).

 

Kim young Bum∙ Lee Seung Hee, 2016. which type of social activities may reduce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a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study. BMC Geriatrics, 16

 

이승희∙김영범 2019. 독거, 외로움, 우울증상의 관계에 대한 일 연구. 한국노년학, 39(3)

(Lee seung hee∙Kim young bum.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alone, loneliness and depressive symptom: Mediation effects of lonelines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기타

2014~2016.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 연구책임자, 연구과제 “고령지역 노인의 Aging in Place를 위한 지역사회 생활환경 연구: 농촌과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2016-2017,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R&D 과제 연구책임자. 연구과제 “치매친화적 사회구축을 위한 치매안심마을 운영모델 개발”

2020~ 현재.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 연구책임자, 연구과제 “돌봄 필요 노인을 위한 ’좋은 AIP’ 구축방안 연구”

2012. Outstanding Article Award in Poverty, Inequality and Mobility Section (Co-author),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김미영
  • 분야

    도시사회학, 공간과 문화

  • 성명

    국문 김미영

  • 직위

    조교수

  • 연구실

    사회·경영1관 10308호

  • 연락처

    033-248-1746

  • 이메일

학력

•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공학 학사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 박사 

주요경력

• 前 부산연구원 연구위원
• 前 서울연구원 초빙부연구위원
• 前 서울대학교 강사
• 前 서울연구원 연구원
• 現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연구 및 저서

연구분야: 도시사회학, 공간사회학

 

-  저서
• 『옥상의 공간사회학』(AURI, 2012, 공저)
• 『서울사회학: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나남, 2017, 공저)
•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미래』(진인진, 2018, 공저)
• 『열 장의 이야기와 다섯 편의 시』(미디어버스, 2020)
• 『춘천의 전통시장, 희망과 서민의 공간 약사명동』(춘천학연구소, 2021)

 

-  연구논문
• 『'오감(五感)도시'를 위한 연구방법론으로서 걷기』(국토계획 49(2). 2014, 공저)
• 『호텔과 '강남'의 탄생』(서울학연구 62. 2016)
• 『현대 공공공간의 새로운 가능성 고찰』(한국지리학회 6(3). 2017)
• 『인스타그램(Instagram)을 통해 본 과시적 자기표현공간으로서 서울 고급호텔』(서울도시연구 19(1). 2018, 공저)
• 『호텔과 조국 근대화: 1960-7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서울도시연구 20(1). 2019)
• 『대학로 젠트리피케이션 전개와 특성 연구』(도시설계 21(3). 2019)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frastructure and Happiness』(국토계획 55(4). 2020, 공저)
• 『사회혁신을 위한 '창의공간' 모델 개발 및 적용』(도시정책연구 12(1). 2021, 공저)
• 『제3의 장소 카페와 근대의 마음』(도시인문학연구 13(1). 2021, 공저)

 

-  프로젝트
• 『공간구조와 국가권력: 평양시 사례연구』(2013)
• 『'좋은 환경'을 위한 물문화 발전방안 연구』(2014)
• 『서울-평양 간 도시계획 협력분야 도시교류 기초 연구』(2018)
• 『부산의 라이프스타일 기반 도시정책 전환 모색』(2018)
•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전략 도시계획』(2018)
•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비전과 전략』(2019)
• 『골목길 활성화를 통한 도시재생 활력제고 방안 연구』(2019)
• 『부산문화비전 2030비전과 전략』(2019)
• 『도시권 보장을 위한 포용도시 부산의 전략과 과제』(2019)
• 『부산 시민행복지표 개발을 위한 기본방향 설정 연구』(2019)
• 『사회혁신 매개로서 창의공간 조성 및 운영방안』(2019)
• 『Post COVID-19, 부산 시민행복 프로젝트』(2020)
• 『스마트 사회 도래에 따른 부산 시민 생활양식 변화와 정책 과제』(2020)
•  『지역관광경쟁력 신규분석모델 구축 연구』(2020)
•  『지역관광상생 주제모듈 활용 지역관광역량 심층 진단 및 분석』(2021)

콘텐츠 담당자 : 사회학과

  • 전화번호 :033-248-1740
  • e-Mail :de1740@hallym.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