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전공

글로컬융합인문학 전공

염정섭
  • 분야

    조선시대사, 한국농업사, 한국사회경제사

  • 성명

    국문 염정섭

  • 직위

    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인문1관 2533-2

  • 연락처

    033-248-1579

  • 이메일

학력

-1994-2000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박사
-1991-1993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석사
-1987-1991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문학사

주요경력

-2020.9.1.~현재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장

-2018.1.1~현재 한림대학교 박물관장
-2015.3.1~현재 한림대학교 인문학부 사학전공 교수
-2014.7.1~ 2016.7.31. 르네상스인문학창의인재육성사업단장
-2013.4.1~ 2015.2.28. 기초교육대학인문학분야주임교수
-2012.2.1~ 2014.1.31. 사학과장
-2010.3.1~2015.2.28 한림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부교수
-2008.9.1-2010.2.28 전북대 인문한국 쌀삶문명연구원 HK조교수
-2007.7.1-2008.8.31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

연구 및 저서

■논 문

林園經濟志 「本利志」의 農政改善論, 震檀學報 108집, 진단학회, 2009.


조선후기 대동강 하류 河中島의 개간과 宮房田의 성립 및 변천, 奎章閣 37집,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고려의 중국 農書·曆書·擇日書 도입과 『吉凶逐月橫看木板』의 성격, 한국중세사연구 38호, 한국중세사학회, 2014.


한국 농서 번역의 현황과 전망, 고전번역연구 5집, 한국고전번역학회, 2014.


1880년대 고종의 권농책과 서양농법 도입 논의, 역사문화연구 51집, 한국외대 역사문화연구소, 2014.


조선 후기 사회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 지역과역사 38집, 부경역사연구소, 2016.


18세기 후반 전라도 담양 儒生 南極曄의 農法 정리와 農政 개혁책, 歷史學硏究 69집, 호남사학회, 2018.


1960∼70년대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근세사회론, 한국사연구 184집, 한국사연구회, 2019.

 

1880년 인제판 『동경대전』 편찬·간행의 재고찰, 건지인문학 25, 인문학연구소, 2019

 

17세기 후반 18세기 초반 궁방전의 변화 추이 - 절수와 면세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60, 조선대학교인문학연구원, 2020.

 

조선 후기 남양도호부의 농촌생활과 농법 농업생산의 특색 - 이옥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50,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세종대 권농 실시와 농법 정리의 의의, 규장각 58,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한국사 시대구분론의 전개와 과제 - 근세와 근대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 195, 한국사연구회, 2021.

 

17~18세기 구황 서적 편찬의 전개와 변화, 한국사상사학 69, 한국사상사학회, 2021.


■저 서

조선시대 농법 발달 연구, 태학사, 2002.

 

아 그렇구나 우리역사 9·10·11(조선 1·2·3), 여유당, 2006·2007.


조선후기 경자양전 연구, 도서출판 혜안, 2008.(공저)


농업과 농민 천하대본의 길, 국사편찬위원회 편, 두산동아, 2009.(공저)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3-조선시대, 역사문제연구소, 웅진지식하우스, 2011.(공저)


서유구: 농업개혁론을 제시한 임원경제지 편찬자, 실학박물관 실학인물총서 10, 민속원, 2013.


18∼19세기 농정책의 시행과 농업개혁론, 태학사, 2014.


풍석서유구 연구 上,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 09, 사람의무늬, 2014.(공저)


신석기 혁명부터 쌀개방까지 우리나라 농업의 역사, 징검다리 역사책, 사계절출판사, 2015


한국토지용어사전, 연세대 국학연구원, 도서출판 혜안. 2016.(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2017.(공저)


독도 관계 한국 사료 총서1,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2019.(공저)


우리나라 농업 100년의 진면목: 농업과학기술 관련 100대 성과, 농촌진흥청, 2019.(공저)

 

한국학 학술용어,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공저)

 

조선시대 지방통치체제와 사회경제적 변화(화성시사 06), 화성시, 2020.(공저)

 

조선시대 지방세력 형성과 지역민의 생활문화(화성시사 07), 화성시, 2020.(공저)

 

금속활자 인쇄술과 역사발전 Ⅰ- 천문, 의학, 농학, 산학, 병학을 중심으로, 청주고인쇄박물관, 2020.(공저)

 

농업기술과 한국문명(한국의 과학과 문명 021), 들녘, 2021. (공저)

기타

학회/학술 활동


-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회원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편집위원


- 한국농업사학회 편집이사

 

김번
  • 분야

    18세기영국문학, 영미대중소설, 정신분석

  • 성명

    국문 김번

  • 직위

    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인문1관 2625호

  • 연락처

    1536

  • 이메일

학력

- 서울대학교(문학박사-영문학)

- 서울대학교(문학석사-영문학)

- 서울대학교(문학사-영문학)

주요경력

2019.7.1.~ 2021.6.30. 인문대학장

2018.2.1. ~ 2019.6.30. 영어영문학과장

2013.2.1.~ 2015.1.31. 인문학연구소장

2011.2.1.~ 2013.1.31. 영어영문학과장

2010.3.1.~ 2011.1.31. 기초교육대학영어독해분야주임 교수

2010.3.1.~ 2011.1.31. 기초교육대학영어회화분야주임 교수

2003.8.1.~ 2005.7.31. 학보사주간

1998-2000 영어영문학과 학과장

연구 및 저서

• 논문

″18세기 영국의 바다에 비친 마음의 풍경들: <로빈슨 크루소>와 <걸리버 여행기>를 중심으로″ [2019]

″<기억 전수자>에 그려진 공동체의 언어 통제와 조나스의 언어 재생″ [2019]

″<채식주의자>와 The Vegetarian: 원작과 번역의 경계″ [2017]

"인간성을 향한 아킬레우스의 분노의 여정: 필멸의 삶에서 불멸성으로" [2016]

"에마 보바리의 불륜과 치명적 소비" [2011]

"전기에 나타난 존슨의 문학관-<쌔비지전>과 <스위프트전>을 중심으로" [2008]

"저무는 세월의 아스라함-<반지의 제왕>" [2004]

"제국과 식민지 사이에서-스위프트의 정치심리학" [2004]

"스위프트 풍자속의 육체와 성" [2003]

"도라 케이스에서의 프로이트의 몸" [2002]

 

•역서

<위대한 책들과의 만남>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8)

<반지의 제왕>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2)

<미국 대통령 취임사> (고려원, 1994)

양태근
  • 분야

    중국근현대정치사상, 대만사

  • 성명

    국문 양태근

  • 직위

    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인문1관 2531호

  • 연락처

    033) 248-1596

  • 이메일

학력

한림대 중국학과 (학사)

대만 국립고웅사범대학교(석사)

대만 국립중산대학교(박사)

주요경력

2014.09-2015.08 University of Washington, The Henry M. Jackson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방문학자

2013.8.19.~ 2014.8.31. 중국학과장

연구 및 저서

∎ 논문

2021.12, 「1970년대 대만 ‘향토문학(鄕土文學)'의 중층적 의의 구조를 통해 본 포스트 현대(後現代)와 포스트 식민(後殖民)」, 『翰林日本學』39.
2020.07, 「百年五四 - 5.4운동 백 년의 회고와 현장」,『中國現代文學』94.
2019.04, 「경전(經典)의 탄생(誕生) -호적(胡適)의 『선진명학사(先秦名學史)』와 『중국철학사대강(中國哲學史大綱)』 상권(卷上)」, 『韓國思想史學』61.
2018.07, 「사라지는 것과 사라지지 않는 것― ‘대만문학사’ 서술 속의 陳映眞」, 『中國現代文學』86.
2016.12, 「1930년대 대만 향토문학과 대만화문(臺灣話文) ― 대만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개념과소통』18. 
2016.12, 「중국과 대만 양안관계의 역사 재해석과 전망:  92공식(九二共識)을 중심으로」,  『역사와세계』50. 
2016.12, 「`운동과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 고찰」, 『동방학지』177. 
2016.10, 「사회문화운동으로서의 중국문학사’고찰- 후스(胡適) 문학사 서사를 중심으로」,  『중국현대문학』79. 
2016.07, 「‘대만문학사’ 서사를 통해 본 대만의식과 중국의식 고찰」, 『중국현대문학』78. 
2015.12, 「펑유란(馮友蘭)의 중국철학과 철학 개념 고찰」,  『개념과 소통』16.
2015.09, 「胡適과 馮友蘭의 老子 시기 논전을 통해 본 『中國哲學史』의 성립 과정과 歐美 철학 연구방법론 영향 고찰」, 『동방학지』171.
2012.09, 「민주화와 본토화의 이중주- 대만의식과 대만 사회 운동의 성장 과정」, 『중국근현대사연구』55.
2012.03, 「호적의 연구방법론 성립 과정, 응용 및 그 영향에 대한 고찰」, 『동방학지』157.
2011.03, 「葉石濤를 통해 본 강제된 문명으로서의 식민지 대만과 ‘대만문학’」, 『中國現代文學』56.
2006.12, 「近代西方知識在東亞的傳播及其共同文本之探索--以《佐治芻言》為例」, 『漢學研究』24卷2期.

 

∎ 저서

2016. 『中國詩文選讀』, 한림대학교출판부.
2007. 『中國近現代思想史上的道德主義與智識主義 : 以梁啓超思想型塑爲線索』, 學生書局.
공저
2019. 『台灣文學年鑑』, 台灣文學館.
2012. 『대만을 보는 눈 : 한국 대만 공생의 길을 찾아서』, 창비.
2010.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선인.
2008. 『제국의 교차로에서 탈제국을 꿈꾸다 : 남쪽에서 본 동북아시아』, 창비.

홍택규
  • 분야

    러시아어학

  • 성명

    국문 홍택규

  • 직위

    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인문1관 2410

  • 연락처

    1635

  • 이메일

학력

2000 - 2002 Institute of Linguistics, Russian Academy of Sciences(박사)

1993 - 1999 서울대학교(박사-노어노문학과)

1991 - 1993 서울대학교(석사-노어노문학과)

1987 - 1991 서울대학교(학사-노어노문학과)

주요경력

2021. 9 – 현재 러시아연구소장

2021. 7 - 현재 러시아학과장

2019-2020 글로컬융합인문학전공 주임교수

2018 - 2019 러시아학과장

2014 - 2015 러시아학과장

2013 - 2014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

2003 - 2003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2000 - 2002 Institute of Linguistic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doktorant

1999 - 2000 상명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겸임교수

1996 – 1997 국립모스크바대학교(MGU) 교환연구과정

연구 및 저서

- 논문

- ГИБНУТЬ vs. ПОГИБАТЬ: 상적, 어휘의 미적 특징들 [러시아학, KCI등재, 공동(교신), 2021]

- 러시아어 동사 상적 삼중쌍 논의에 부쳐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KCI등재, 공동(교신), 2021]

- 러시아어 부동사, taxis, 그리고 상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KCI등재, 단독, 2018]

- Анна А. Зализняк & А.Д.Шмелёв의 러시아어 상 기술방법론 검토. 중화와 사건성의 문제의 중심으로.[슬라브연구, KCI등재, 단독, 2016]
- 러시아어 상 습득 연구의 제 문제: 향후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KCI등재, 단독, 2015]
- 내러티브 현재/과거에 관하여: K. Hamburger의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KCI등재, 단독, 2014]
- 대용과 지각적 직시[슬라브연구, KCI등재, 단독, 2014]
- 러시아어 동사 상의 범주적 속성 : 유형론적 관점과 문법화를 배경으로[비교문화연구, KCI등재, 단독, 2013]

기타

학회활동:

‘노어노문학’ 편집위원, '슬라브연구' 편집위원, 한국러시아문학회 이사

김아람
  • 분야

    한국근현대사, 한국사회문화사, 지역사, 구술사

  • 성명

    국문 김아람

  • 직위

    조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인문1관 2503호

  • 연락처

    1575

  • 이메일

학력

2009-2017 연세대학교(문학박사-사학과)

2006-2009 이화여자대학교(문학석사-사회과교육과 역사학 전공)

2003-2006 이화여자대학교(문학사-사회과교육과 역사교육 전공)

주요경력

2020.3-현재 한림대학교 글로컬융합인문학전공 조교수

2011.5-현재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2017-201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전문연구원

2011-2019 가톨릭대학교,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일장신대학교 강사

2023.1-2024.12 글로컬융합인문학전공 주임교수

연구 및 저서

<논문>

2021.9, 학교에서 거리로, 도시에서 농촌으로:1960~70년대 이념서클의 학생운동 -연세

대 한국문제연구회를 중심으로-, 학림 48

2021.8, 한국 현대사를 많이 알면 민주시민이 될 수 있는가, 역사비평 136

2021.3, 1960~70년대 한센인 정착촌의 형성과 ‘자활’의 한계, 동방학지 194

2021.3, 1960~80년대 사회정화와 여성 수용, 사회와 역사 129

2020.11, 배울 권리와 의무교육의 교차, 1950~60년대 전반 ‘혼혈’아동 교육, 역사비평 133

2019.12, 피난지에서 미군기지까지, 평택에서의 이주와 정착, 역사와 현실 114

2019.10, 1960~1970년대 석탄산업 정책과 동원탄좌, 역사문제연구 42

2019.3, ‘세월호 유가족’이 된 희생자 부모의 활동과 그 의미, 구술사연구 10-1

2018.9, 1960년대 개척단의 농지조성과 갈등 구조, 사학연구 131

2018.6, 한국전쟁기 제주도의 공간적 인식과 이주‧개발 정책, 동악어문학 75

2018.3, 여순사건 이후 지역의 피해와 재정착의 정치성 –하동군 화개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84

2017.10, 1950년대 후반~60년대 전반 정착사업의 변천 과정과 특징, 역사문제연구 38

2017.9, 한국전쟁기 황해도민의 서해안 피난과 전후 전라남도 정착, 동방학지 180

2017.6, 한국전쟁기 난민정착사업의 실시와 구호의 성격, 한국민족운동사연구 91

2016.4, 38선 넘고 바다 건너 한라산까지, 월남민의 제주도 정착 과정과 삶, 역사문제연구 35

2015.4, 가족이 짊어진 구호와 자활 –1950~60년대 합동결혼과 그 주인공, 역사문제연구 33

2013.8, 성장신화에 갇힌 박물관: 제3,4전시실(1961년 이후), 역사비평 104

2013.4, 1970년대 주택정책의 성격과 개발의 유산, 역사문제연구 29

2011.12, 5.16군정기 사회정책-아동복지와 ‘부랑아’대책의 성격-, 역사와 현실 82

2009.11, 1950년대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해외입양, 역사문제연구 22

 

<저서>

2021.4, (1980년 사북) 항쟁과 일상의 사회사, 선인(공저)

2020.12, 한국 민주주의 100년, 가치와 문화, 한울아카데미:한울엠플러스(공저)

2020.12, (1980년 사북) 항쟁의 발발과 명예회복 과정, 선인(공저)

2020.12, (1980년 사북) 항쟁과 그 이후의 삶, 선인(공저)

2020.12, (1980년 사북) 여성의 탄광살이와 항쟁 참여, 선인(공저)

2019, 분단시대 월남민의 사회사: 정착, 자원, 사회의식, 혜안(공저)

2018, 청량리, 반성매매인권행동이룸(공저)

2018, 한국사, 한 걸음 더, 푸른역사(공저)

2018, 6‧25전쟁과 1950년대 서울의 사회변동, 서울역사편찬원(공저)

2016, 수집사료해제집 10, 전남, 제주 지역 정착사업 사료, 국사편찬위원회(자료 수집 및 해제)

2016, 구술사료선집 23, 이주와 정착: 1950~60년대 농촌 정착사업 참여자의 경험, 국사편찬위원회(공저)

2014, 고아, 족보 없는자: 근대, 국민국가, 개인, 책과함께(공저)

기타

<수상 및 장학>

2017.5, 우수논문장려상, 연세대학교

2014.5, 우수논문상, 연세대학교

2009-2010 하이서울장학생

 

<학회, 학술, 대외활동>

2020.1-현재 구술사연구 편집위원

2019.12-현재 역사문제연구 편집위원

2019.7-현재 정선지역사회연구소 연구위원

2018.11-현재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자문위원

2018-2019 한국구술사학회 연구이사

2017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분과장

2016-2017 역사문제연구소 인권위원장

이병기
  • 분야

    한국어문법사

  • 성명

    국문 이병기

  • 직위

    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인문1관 2607호

  • 연락처

    (033)248-1512

  • 이메일

학력

서울대학교(학사, 석사, 박사)

주요경력

2002. 9. ∼ 2004. 8. 서울대학교 조교

2004. 9. ∼ 2006. 8. 서울대, 서울시립대, 아주대, 한신대 강사

2006. 9. ∼ 현재. 한림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전공 조교수, 부교수

2015.3.1.~ 2016.2.29. 국어국문학과장

2016.3.1.~ 2017.1.31. 인문학부장

2016.3.1.~ 2017.1.31. 국어국문학전공주임교수

2017.3.1.~ 2020.12.31. 한국어교육센터장

2021.1.1.~현재 인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 주임교수

연구 및 저서

- 논문

1997. 보조용언과 강세접미사의 발달. <국어학논집> 3. 서울대 국문학과.

1998. 선어말어미 '-리-'의 기원. <구결연구> 4. 구결학회.

2002. 색채명사의 발달. <형태론> 4-2. 박이정.

2006. '하(아래아 하)마'와 시간 인식,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6. '-겠-'과 '-었-'의 통합에 대하여, <국어학> 48. 국어학회.

2006. '-겟-'의 문법화와 확정성. <진단학보> 102. 진단학회.

2008. 慕竹旨郞歌의 해독에 대하여, 구결연구21.

2008. 중세 국어 ‘강세접미사’와 ‘보조 용언’의 상관성, 국어학53.

2009. 한자한문의 수용과 저항, 인문학연구15.

2009. ‘-거-’, ‘-게’, ‘-겠-’의 ‘대상성’ 논의와 역사적 가설, 임홍빈 교수 퇴임기념논총.

2010. 『易言』을 前後한 ‘기계’와 ‘제조’의 어휘사, 국어국문학 156

2011. 형태론 12권 1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2), 형태론 13권1호

2012. Research Trends in the Conceptual History of Gukeo(國語) in Korea, 東亞觀念史集刊 3.

2013. 추사가 한글 편지의 국어학적 검토, 국어학 66.

2013. "飮氷室自由書"의 국한문체 번역에 대하여, 어문논집 54.

2014. 명사와 국어사, 한국어학 62.

2014. 구결자료의 어휘, 구결연구33

2016. 04. 석독구결(釋讀口訣) 자료와 「한국한자어사전(韓國漢字語辭典)」 , 동양학, 동양학연구원

2018. 10. 시상 형태 ‘-(으)리-’의쟁점과 전망, 국어사연구 27, 국어사학회.

2019. 08. 고대국어 동명사 어미 연구의 현황과 과제 –석독구결 자료를 중심으로, 구결연구 43, 구결학회.

2020. 07. 19세기 전후 ‘-리-’의 쇠퇴에 관한 계량적 고찰:추사가, 학봉가 한글편지를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 사회 40, 언어정보연구소.

2021. 06. 『현대신어석의(現代新語釋義)』(1922)와 당대 매체의 언어, 개념과 소통 27, 한림과학원

 

 

- 저서

2005. (공동저서) <각필구결의 해독과 번역1>. 태학사.

2006. (공동저서) <각필구결의 해독과 번역3>. 태학사.

2010. (공동저서) 易言-19세기 중국, 개혁을 묻다. 푸른역사.

2014. ‘국어’의 언어적 근대는 기회된 것인가 - 김병문, 『언어적 근대의 기획: 주시경과 그의 시대』 (소명출판, 2013) - 개념과 소통

2015. ‘국어’는 근대적 기본 개념어인가?, 인문논총

2015. ‘국어’ 및 ‘국문’과 근대적 민족의식, 國語學

2016. 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전통문법, 국어구조론, 국어의미론, 신국어학사, 조선어력사문법, 중세국어연구, 한국지명총람, 음독구결, 고유명사표기),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04. (공동저서) <음빙실자유서>, 푸른역사

2018. 10. (공동저서) <안병희 선생 10주기 추모 논문집 -안병희 선생의 훈민정음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10. (공동저서) <國語學論叢 : 宋喆儀先生退任紀念-중세국어 격조사의 교체 양상에 대하여>, 태학사.

2019. 04. (공동저서) <석보상절 권23>, 동국대학교출판부.

2019. 12. (공동저서) <역주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서은혜
  • 분야

    한국현대소설

  • 성명

    국문 서은혜

  • 직위

    조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 인문1관 2610

  • 연락처

    033-248-1514

  • 이메일

학력

2010-2017 서울대학교(문학박사-국어국문학과 현대소설전공)

2007-2010 서울대학교(문학석사-국어국문학과 현대소설전공)

2003-2007 서울대학교(문학사-국어국문학과)

주요경력

2021. 9-현재 한림대학교 글로컬융합인문학전공 조교수

2017.9-2021.8 홍익대학교 교양과 초빙대우교수

2017.3-2017.8 서울대학교, 충북대학교 강사

2012.3-2015.2 홍익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강사

연구 및 저서

■논문

2022.06, 김영하, 최민우 소설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왕> 마스터플롯의 변주, 인문연구(99),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06, 이효석 소설과 서양 고전음악의 상호매체성, 한국문학과예술(42), 사단법인 한국문학과 예술연구소

 

2021.12, ‘언문일치’라는 이상에 이르는 작가의 도정 - 하타노 세츠코(波田野節子), <이광수의 한글 창작>(소명출판, 2021) -, 어문론총(90),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12, 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에 나타난 역사적 상상력의 의미, 현대소설연구(84),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04, 서평 구성 관련 피드백 방식과 수정(revision)의 관련성 - 대학 신입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리터러시연구 12(2), 한국리터러시학회

 

2021.04, TV 드라마 <미스티(Misty)>에 나타난 미스터리 구조의 중층성 : 지연 전략과 장르 혼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4), 한국콘텐츠학회

 

2021.03, 80년 광주 이후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남편-아내’ 인물형 변주의 의미 - 자전적 공간과 작가 정체성 모색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69,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12,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사진’의 의미 - ‘사실-허구의 변증법’에 대한 새로운 탐색, 한국문학과예술 36,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 예술연구소

 

2020.09, 70년대 후반 이청준 소설과 마르쿠제 수용 - 「거룩한 밤」(1977), 「살아 있는 늪」(1979)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67,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04, 쓰기 동기화 자료 활용과 서평 학습자의 비평 요소 선택, 리터러시연구 11(2), 한국리터러시학회

 

2020.02, 시즌제 시트콤 <프렌즈(Friends)>의 내러티브와 유머 효과 : 몰아보기(Binge Watching) 시청 방식과 관련하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 한국콘텐츠학회

 

2019.08, 『한일관계사료집』을 통해 본 1910년대 이광수의 글쓰기, 춘원연구학보 15, 춘원연구학회

 

2019.06, 손창섭 소설과 니체적 사유의 관련성, 현대소설연구 74,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10, 이청준 소설 속 인물들의 자기기만과 실존의 조건, 한국근대문학연구 19(2), 한국근대문학회

 

2018.06, 김승옥 소설의 대화적 담론성과 정치적 (무)의식, 현대소설연구 70,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06, 인과론적 사유의 전개와 망국사(亡國史) 이야기: 『마의태자』의 서사 구성 원리를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12, 춘원연구학회

 

2018.02, 속물, 경계인, 낙오자와 ‘비정상성’의 범주: 최명익 소설의 그로테스크(grotesque), 상허학보 52 집, 상허학회

 

2017.12 나도향 소설과 낭만적 자아의 윤리, 한국언어문학 103호, 한국언어문학회

 

2017.03 노동의 향유, 양심률의 회복 :『흙』에 나타난 이상주의적 사유의 맥락과 배경, 어문연구 45권 1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11, 이광수의 상해·시베리아행과 「유정」의 자서전적 텍스트성, 춘원연구학보 9호, 춘원연구학회

 

2015.12 이광수 소설의 ‘사랑’ 형상화와 자전적 언술행위, 구보학보 13집, 구보학회

 

2014. 1910년대 이광수 단편소설의 ‘자기-서사’적 특성, 춘원연구학보 7호, 춘원연구학회

 

2013.04 1920년대 이광수의 감정론과 <마의태자>에 나타난 ‘충의’의 정조, 한국근대문학연구 27호, 한국 근대문학회

 

2013. 이광수 역사소설의 장르의식 형성과정, 춘원연구학보 6호, 춘원연구학회

 

2012.04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재난(catastrophe) 모티프와 공동체의 이상, 한국현대문학연구 36호, 한국 현대문학회

 

2011.12 메타 서술 상황의 제시를 위한 장문(長文) 실험: <방란장 주인>의 문체적 특징 연구, 구보학보 6 집, 구보학회 

 

■저서

2019.05 김현주 외, 『한국소설 다시 읽기』, 홍시커뮤니케이션 (공저)

성기현
  • 분야

    현대유럽철학, 사회철학, 예술철학

  • 성명

    국문 성기현

  • 직위

    조교수

  • 연구실

    대학본부 인문1관 2513

  • 연락처

    033-248-1553

  • 이메일

학력

서울대학교(철학박사)

서울대학교(문학석사)

경북대학교(문학사)

주요경력

2021.9-현재 한림대학교 철학 전공 및 글로컬융합인문학 전공 조교수

2020.8-2021.8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2018.9-2021.8 서울대학교 미학과,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덕성여자대학교 철학과 강사

2018.7-2019.6 충북대학교 철학과 박사후과정 연구원

2013.3-2020.8 한림대학교 철학과 강사

연구 및 저서

■논문

2022.12, 「칸트라는 분기점: 랑시에르 vs. 리오타르」, 『미학』 88(4), 한국미학회

 

2022.01, 「들뢰즈와 해석의 문제: 실험의 해석학」, 『현대유럽철학연구』 64,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1.06, 「들뢰즈의 프로망제론: 그림-기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미학예술학 연구』 63,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03, 「오이디푸스의 유형학: 『안티 오이디푸스』를 중심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88, 한국현상학회

 

2021.02, 「들뢰즈와 과타리의 보편사 개념에 대한 연구」, 『인문논총』 78(1),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02, 「들뢰즈의 '빼기 선언'에 대한 연구: 두 <리처드 3세> 사이의 변화를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60, 한국드라마학회

 

2019.06, 「들뢰즈의 후기 프루스트론에 대한 연구: 파편, 횡단성, 거미-화자 개념을 중심으로」, 『미학』 85(2), 한국미학회

 

2017.09, 「들뢰즈의 미학은 ‘어떤 의미에서’ 존재하는가?: 랑시에르의 「들뢰즈의 미학은 존재하는가?」에 대한 반론」, 『미학』 83(3), 한국미학회

 

2016.12, 「지각에 대한 발생론적 이해와 그 미학적 귀결들: 질 들뢰즈의 초월론적 감성론을 중심으로」, 『미학』 82(4), 한국미학회

 

2013.06, 「신체론으로서의 감각론: 스피노자의 물음 ‘신체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들뢰즈의 답변」, 『탈경계인문학』 6(2), 이화인문과학원

 

2011.10, 「‘미학의 정치’에 있어 유희의 역할: 랑시에르의 칸트 이해를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 4(3), 이화인문과학원

 

 

■저서

2023, 성기현 지음(공저), 『현대철학매뉴얼』, 그린비

 

2022, 성기현 지음(공저), 『프랑스철학과 정신분석』, 그린비

 

2019, 성기현 지음, 『들뢰즈의 미학: 감각, 예술, 정치』, 그린비

 

 

■번역서

2016.01, 안 소바냐르그 지음, 성기현 옮김, 『들뢰즈, 초월론적 경험론』, 그린비

 

2012.09, 제롬 로장발롱, 브누아 프레트세이 지음, 성기현 옮김, 『들뢰즈와 가타리의 무한 속도 1』, 열린책들

기타

■학회활동

2023-2024 한국현상학회 학술이사
           한국프랑스철학회 출판편집이사
           한국미학회 사업이사          
           철학연구회 연구위원
           등재지 『현상학과 현대철학』 편집위원


2021-2022 한국현상학회 총무이사
           한국프랑스철학회 학술교류이사
           등재지 『현상학과 현대철학』 편집위원


2019-2020 한국프랑스철학회 연구이사

콘텐츠 담당자 : 인문대학

  • 전화번호 :033-248-1500
  • e-Mail :de1500@hallym.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