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글로벌 일류 대학을 향한 한림의
중장기 비전과 연차별 실천 전략
(Vision & Action 2016~2022 /
Vision & Action 2018~)
글로벌 일류 대학, 한림대학교
융·복합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합니다
한국어문법사
국문 이병기
교수
대학본부·인문1관 2607호
033-248-1512
prefalla@hallym.ac.kr
- 서울대학교(학사, 석사, 박사)
- 2023.01.01. ~ 현재 : 한국어교육센터장
- 2022.01.01. ~ 2022.12.31. : 인문학부장
- 2021.01.01. ~ 2022.12.31. : 인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 주임교수
- 2016.03.01. ~ 2017.01.31. : 인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 주임교수
- 2016.03.01. ~ 2017.01.31. : 인문학부장
- 2015.03.01. ~ 2016.02.29. : 국어국문학과장
- 2006.09. ∼ 현재. : 한림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전공 조교수, 부교수, 교수
- 2004.09. ∼ 2006.08. : 서울대, 서울시립대, 아주대, 한신대 등 강사
- 2002.09. ∼ 2004.08. : 서울대학교 조교
◾ 논문
- 2025.『訓民正音』 解例本의 合用과 並書에 대하여『訓民正音』,어문연구 2025
- 2023. 18세기 전후 한글편지의 계량적 분석을 활용한 '-리-'의 쇠퇴 양상 연구, 언어와 정보 사회49
- 2023. 문법사를 활용한 현대 국어 문법 교육, 국어사연구37
- 2023. 원각사본 『능엄경』과 『능엄경언해』의 비교, 구결연구50, 구결학회.
- 2022. <동동>을 이용한 국어사와 고전문학의 통합적 교육, 한국어문교육39,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 2021. 『현대신어석의(現代新語釋義)』(1922)와 당대 매체의 언어, 개념과 소통 27, 한림과학원
- 2020. 19세기 전후 ‘-리-’의 쇠퇴에 관한 계량적 고찰:추사가, 학봉가 한글편지를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 사회 40, 언어정보연구소.
- 2019. 고대국어 동명사 어미 연구의 현황과 과제 –석독구결 자료를 중심으로, 구결연구 43, 구결학회.
- 2018. 시상 형태 ‘-(으)리-’의쟁점과 전망, 국어사연구 27, 국어사학회.
- 2016. 석독구결(釋讀口訣) 자료와 「한국한자어사전(韓國漢字語辭典)」 , 동양학, 동양학연구원.
- 2015. ‘국어’ 및 ‘국문’과 근대적 민족의식, 國語學.
- 2015. ‘국어’는 근대적 기본 개념어인가?, 인문논총.
- 2014. ‘국어’의 언어적 근대는 기회된 것인가 - 김병문, 『언어적 근대의 기획: 주시경과 그의 시대』 (소명출판, 2013) - 개념과 소통.
- 2014. 구결자료의 어휘, 구결연구33
- 2014. 명사와 국어사, 한국어학 62.
- 2013. "飮氷室自由書"의 국한문체 번역에 대하여, 어문논집 54.
- 2013. 추사가 한글 편지의 국어학적 검토, 국어학 66.
- 2012. Research Trends in the Conceptual History of Gukeo(國語) in Korea, 東亞觀念史集刊 3.
- 2011. 형태론 12권 1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2), 형태론 13권1호.
- 2010. 『易言』을 前後한 ‘기계’와 ‘제조’의 어휘사, 국어국문학 156.
- 2009. ‘-거-’, ‘-게’, ‘-겠-’의 ‘대상성’ 논의와 역사적 가설, 임홍빈 교수 퇴임기념논총.
- 2009. 한자한문의 수용과 저항, 인문학연구15.
- 2008. 중세 국어 ‘강세접미사’와 ‘보조 용언’의 상관성, 국어학53.
- 2008. 慕竹旨郞歌의 해독에 대하여, 구결연구21.
- 2006. '-겟-'의 문법화와 확정성. <진단학보> 102. 진단학회.
- 2006. '-겠-'과 '-었-'의 통합에 대하여, <국어학> 48. 국어학회.
- 2006. '하(아래아 하)마'와 시간 인식, <국어학논총>, 태학사.
- 2002. 색채명사의 발달. <형태론> 4-2. 박이정.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03. 8.
- 1998. 선어말어미 '-리-'의 기원. <구결연구> 4. 구결학회.
- 1997. 보조용언과 강세접미사의 발달. <국어학논집> 3. 서울대 국문학과.
◾ 저서
- 2024. (공동저서) 근대 이전 '어린이'의 의미 변화, <'어린이'의 탄생과 춘천의 어린이>, 춘천문화원.
- 2019. (공동저서) <역주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2019. (공동저서) <석보상절 권23>, 동국대학교출판부.
- 2018. (공동저서) <國語學論叢 : 宋喆儀先生退任紀念-중세국어 격조사의 교체 양상에 대하여>, 태학사.
- 2018. (공동저서) <안병희 선생 10주기 추모 논문집 -안병희 선생의 훈민정음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7. (공동저서) <음빙실자유서>, 푸른역사.
- 2010. (공동저서) 易言-19세기 중국, 개혁을 묻다. 푸른역사.
- 2006. (공동저서) <각필구결의 해독과 번역3>. 태학사.
- 2005. (공동저서) <각필구결의 해독과 번역1>. 태학사.
콘텐츠 담당자 : 인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