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융합신소재공학 전공

융합신소재공학 전공

학과소개

융합신소재공학은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21세기 산업분야의 핵심소재를 연구/개발하는 독립분야일 뿐 아니라, 바이오/의료 분야와 학문적으로 연계하여 그 과학과 기술을 융합하고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학문입니다. 특히 차세대 의료기기 분야의 새로운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연구 특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학부과정에서는 소재 전반에 관한 기초 이론을 심도있게 학습하고, 이에 관한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소재 및 소자, 생산 공정 등을 기획/설계하고 이를 응용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기초 과학과 공학, 첨단 지식을 기반으로 BT(Biotechnology) 및 4차산업혁명 분야 등 미래 핵심 산업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교과과정

융합신소재공학
수준 1학기 2학기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강의-실습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강의-실습
2 513002 재료과학개론 I 3-3-0 513003 재료과학개론 II 3-3-0
513004 소재열역학의 이해 I 3-2-2 513005 소재열역학의 이해 II 3-2-2
513032 재료유기화학 3-1-4 513015 고분자소재 3-3-0
3 006175 오디세이세미나3 1-0-1 006175 오디세이세미나3 1-0-1
513007 신소재실험 I 3-3-0 513008 신소재실험 II 3-1-4
513024 의생명공학개론 3-3-0 513010 상변화와미세조직 3-3-0
513026 신소재특강 I 2-2-0 513014 바이오소재 3-3-0
513037 반도체소자공정 3-3-0 513027 신소재특강 II 3-3-0
513038 운동량 및 에너지, 물질전달 3-3-0 513033 캡스톤디자인1 3-2-2
860004 재료기기분석 3-3-0
4 513022 나노소재및공정 3-3-0 513023 마이크로나노시스템 3-3-0
513036 졸업연구논문 1-1-0 513025 의용생체공학개론 3-3-0
513039 공학도를 위한 병리학 3-3-0 860005 3D 바이오프린팅공학 3-3-0
860006 융합신소재공학 콜로퀴엄 I 2-2-0 860007 융합신소재공학 콜로퀴엄 II 2-2-0
513034 캡스톤디자인2 3-2-2 인턴쉽 II
인턴쉽 I
학점계 36학점 38학점
기타 □ 학점인정형 코드쉐어링 교과목
– 화학과, 생명과학과, 바이오메디컬학과, 환경생명공학과, 반도체ㆍ디스플레이스쿨, 반도체전공, 디스플레이전공, 디지털인문예술전공, 글로벌협력전공, 융합관광경영전공, 의약신소재전공, 마케팅커뮤니케이션테크놀러지융합전공, 공공인재융합전공의 교과목을 최대 9학점까지 융합신소재전공 학점으로 인정함.

□ 선수강학습
- 일반 화학 및 실험 I, II
- 일반 수학 및 실습 I, II
- 기초 과목의 선수강을 권장함.
졸업
인증
□ 필수 수강과목: 오디세이미나3, 복수전공 학점 33학점 이수.

융합신소재공학전공 나노디그리 과정 안내

나노디그리 과정 안내
이수기준 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유관기관
9학점 513024 의생명공학개론 3-3-0 ㈜앱솔로지
513033 캡스톤디자인1 3-2-2
513025 의용생체공학개론 3-3-0

전공 역량 트랙 운영

전공 이수학점과 별개로 역량별 트랙 운영하며 트랙 이수 시 역량졸업 인증
  • 취업 연계형 - 융합신소재 산업체 트랙
  • 대학원 연계형 - 의공학 R&D 트랙

교육특성화

특성화 분야 : 미래융합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목표 : BT-NT-IT 융합기술기반의 미래융합 신소재 핵심기술 인력 양성
바이오 신소재
  • 나노-유전체전달 / 치료물질
  • 생체조직재생
  • 인공관절 / 인공치아
  • 줄기세포 분화 베이스 콤플렉스
  • 나노 / 바이오소자
  • 3D프린팅
  • 신경계 인터페이스
고분자 신소재
  • 고분자 소재의 이해
  • 플렉시블 전자소재
  • 생체 친화형 고분자 신소재
  • 나노기공필터신소재
  •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
  • 바이오멤스용 고분자 신소재
  • 고분자 무기소재 접합
나노 신소재
  • 금속 / 세라믹 소재의 이해
  • 나노입자, 와이어,
    나노튜브, 그래핀합성
  • 유무기 하이브리드
  • 디스플레이용 투명 신소재
  • 나노금속촉매신소재
  • 소프트 나노소재
신소재 공정
  • CMOS 공정
  • 표면 개질
  • 플렉시블 전자회로
  • 미세유체제어 맴스
  • 자연모사
  • 나노 임프린트
  • 3D고조체기공
    나노에너지소자
  • 나노패터닝

졸업 후 진로

졸업 후 차세대 유망산업인 바이오 산업, 의료서비스 산업 뿐만 아니라 국가 핵심 소재 산업인 반도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 공정 / 장비 산업, 소재 / 부품 산업, 자동차 산업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공립 연구소 및 정부기관에서도 근무할 수 있으며, 학문의 특성상 벤처 창업을 통한 기업가로의 꿈을 실현할 수도 있습니다.
 
  • 자동차
  • 의료기기
  • 공정 / 장비
  • 반도체
  • 정부출연 연구소
  • 바이오
  • 디스플레이
  •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