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연구주제
◦ 컴퓨터 개별적응 검사(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 문항반응이론 (Item Response Theory)
◦ 심리측정 및 검사(Psychological Measurement and Testing)
◦ 구조방정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종단연구 및 성장모형 (Longitudinal Data Analysis and Growth Modeling)
◦ 기계학습 및 심화학습(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 주요 연구과제
◦ 다차원 성격검사의 개발과 웹 기반 컴퓨터 맞춤형 검사(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플랫폼 개발; 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2018~2021)
◦ 청소년 자해척도 개발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 보건복지부 정신 건강 연구 프로젝트 (2019~2021)
◦ ICT 기반 노인활력지수 개발과 웹 플랫폼 개발; 한국연구재단 융합연구 (2017~2020)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컴퓨터 기반 평가 플랫폼 구축 자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2020)
◦ 병무청 인지능력검사 개선 연구 자문; 한국국방연구원 (2019~2020)
◦ 의사자격증시험을 위한 컴퓨터 맞춤형 검사 플랫폼 구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7)
◦ 기간제 의사자격증시험을 위한 컴퓨터 기반 동등화 검사 구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7)
◦ 한국형 우울검사 개발과 타당화; 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2015~2017)
■ 연구 논문 (1저자/교신저자)
◦ 최상민, 조은실, 박용천, 최기홍, 서동기(2022).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원 검사와 단축형 검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6(4), 253-279.
◦ 이찬주, 박주은, 신하영, 최상민, 서동기(2022). 소셜미디어 정서전염척도(SECS)의 개발 및 타당화: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7), 583-598.
◦ Kim, SJ., & Seo, D.G., et. al. (202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lf-Harm Screening Inventory (SHSI) for adolescents. PLOS ONE, 17(2).
◦ 전희진, 송혜선, 이지현, 박기호, 최기홍, 서동기(2021). 생태순간평가를 이용한 성장모형개발: 노년 활력 지수를 활용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5), 313-326.
◦ Seo, D. G., & Kim, J. K. (2021).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of mastery for each content domain using the Rasch and deterministic inputs, nosiy “and” gate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s: a simulation study and a real-world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Health Profession, 18, 15.
◦ 최정욱, 한여울, 박두진, 최기홍, 서동기 (2021).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 단축형(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Short Form: BDPI-SF)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5(1), 43-67.
◦ Choi, Y., & Seo, D. G. (2020). Estimation of item parameters and examinees’ mastery probability in each domain of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ing a deterministic inputs, noisy “and” gate (DINA)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Health Profession. 17.
◦ Seo, D. G., & Choi, J. (2020). Introduction to the LIVECAT web-based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platform.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Health Profession, 17, 2.
◦ 김도경, 서동기 (2020). 컴퓨터 기반 맞춤형 검사의 구현을 위한 웹 기반 플랫폼(LIVECAT)의 정확성 및 효율성 검증.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8(4), 77-87.
◦ 김명기, 이상준, 한여울, 박두진, 최기홍, 서동기 (2020). 한국현 다차원 성격검사(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의 개발과 타당화: 일반 성격과 부적응 성격의 통합. 한국심리학회: 일반, 39(3), 359-383.
◦ 이상준, 한여울, 김효원, 이희재, 박재영, 최기홍, 박두진, 최정욱, 김명기, 서동기 (2019). 다차원 성격검사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예비연구: 일반 성격과 부적응 성격의 통합적 평가. 한국임상심리학회, 36(3), 402-417.
◦ Park, Y., Seo, D. G., Park, J., Kim, B., & Choi, J. (2019): The influence of behavior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 growth modeling approach.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1(1), 1-23.
◦ Suh, JW., Lee, HJ., Yoo, N., Min, H., Seo, DG., & Choi, KH. (2019). A Brief Version of the Leahy Emotional Schema Scale: a Valida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12(1), 38-54.
◦ 서동기, 이순묵, 김종남 외 (2019). 단축형 심리검사 개발의 측정학적 방법과 타당화: 한국형 역기능 우울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8(1). 75-105.
◦ 김종남, 이순묵, 최승원, 채정민, 서동기, 이헌정, 원은수 (2018).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스트레스 연구, 26(2), 103-114.
◦ Seo, D. G., & Choi, J. (2018). Post hoc simulation study of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for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Health Profession, 15, 14.
◦ Seo, D. G., Kim, M., Kim, N., Shin, H., & Kim, H. (2018). Linear programming method to construct equated item sets for the implementation of periodical computer-based testing for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Health Profession, 15.
◦ 서동기, 김예실, 유대열, 임다현 (2018). 한국판 PCI 검사의 타당화 연구: 국내 직무장면을 중심으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8(2), 37-48.
◦ 최윤영, 서동기 (2018). 인식론적 프레임 학습을 위한 컴퓨터 기반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 분석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9(3), 23-29.
◦ Seo, D. G., & Jung, S. (2018). A comparison of three empirical reliability estimates for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CAT) using a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Frontiers in Psychology, 9.
◦ Park, Y., Seo, D. G., Moore, EJ., & Kim, B. (2018). What contributes to low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Evidence from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1(4), 404-416.
◦ Seo, D. G., Choi, Y., & Huh, S. (2018). Usefulness of DETECT program to assess internal structure of dimensionality in simulated data and results of Korean Nursing Licensing Examin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Health Profession, 14, 32.
◦ 최윤영, 서동기, 정선호 (2018). 컴퓨터기반 교육시스템의 인식론적 프레임 학습을 위한 이론모형 구축과 평가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8(3). 354-360.
◦ 김종남, 이순묵, 최승원, 채정민, 서동기, 최윤경, 조철현 (2017). 한국형 역기능 우울 척도의 문항개발 및 문항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4), 849-882.
◦ 서동기, 정선호 (2017). 모형명세화 오류와 소표본에서 구조방정식모형 모수 추정방법들 비교: 모수추정 정확도와 이론모형 검정력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 정보과학지, 28(5), 1153-1165.
◦ 조용래, 서동기 (2017). 수용과 행동 질문지 제2판(AAQ II)에 대한 요인분석과 다분문항이론의 적용: 지역 사회 노인표본을 대상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36(3), 402-417.
◦ Seo, D. G. (2017). Overview and current management of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in licensing/certification examin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Health Profession, 14, 17.
◦ Seo, D. G., Park, Y., Kim, M., & Park J. (2016). Mobile phone dependency and its impacts on adolescents' social and academic behavio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3, 282–292.
◦ Park, Y., Seo, D. G., Park, J., Bettini, E., & Smith, J. (2016).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 analysis of South Korea’s Nationa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53, 198–212.
◦ Seo, D. G., & Hao, S. (2016). Scale comparability between nonaccommodated and accommodated Forms of a statewide high school assessment: Using lz person fit.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34(3), 230-243.
◦ 정선호, 서동기 (2016).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35(1), 257-282.
◦ Seo, D. G, & Weiss, D. (2015). Best design for multidimensional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with the bifactor model.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75(6), 954-978.
◦ 서동기, 김좌근, 김경태 (2015). Characteristics of item parameter estimation for the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theory (MIRT).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2), 619-640.
◦ Seo, D. G., & DeJong, G. (2015). Comparability of online and paper based tests in a statewide assessment program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52(1), 88-113.
◦ Wyse, Adam E., & Seo, Dong Gi (2014). A comparison of three conditional growth percentile methods: Student growth percentile, percentile rank residuals, and a matching method.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9(15).
◦ Seo, D. G., & Weiss, D. (2013). lz Person fit index to identify misfit students with achievement test data.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73(6), 994-1016.
■ 저역서
◦ 검사 번역/번안을 위한 국제 지침(2021): 한국어판 2017년 2판
◦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2020)
◦ 한국 조음음운 프로파일(Korean Articulation Phonology Profile, 2020)